“자금 공급하며 연체율 관리”…美 관세에 은행권 이중과제

“자금 공급하며 연체율 관리”…美 관세에 은행권 이중과제

기사승인 2025-04-09 09:29:34
시중은행. 쿠키뉴스 자료사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수출 기업이 큰 타격 입을 전망이다. 은행들은 기업 자금 지원과 리스크 관리를 병행해야 하는 어려운 숙제를 떠안게 됐다.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은 9일부터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효할 예정이다. 이에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5대 금융지주를 소집해 경영 악화가 예상되는 수출 기업들에 실물 부문 자금지원을 적극적으로 해달라고 요청했다.

금융당국의 요구에 따라 금융지주와 은행은 연달아 기업 금융 지원에 나서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8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230억원을 특별출연해 제조업체와 수출업체 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하나은행은 중소기업·소상공인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6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고, 신한금융그룹 또한 10조5000억원을 지원한다. 시중은행들이 힘을 합쳐 총 25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다.

은행은 기업 자금 지원과 연체율 관리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이중 과제를 안게 됐다. 고율 관세는 대미 수출품 가격을 올려 현지 내 상품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이는 수출 감소로 이어진다. IBK경제연구소는 25% 관세 부과 시 대미 수출이 12.8%, 전체 수출이 4.6%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수출 기업 경영이 악화하면 자연스레 기업 대출 상환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은행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이 커진다. 

심지어 기업대출 연체율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 대비 0.11%p 상승했다. 중소기업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중소법인대출 연체율은 0.81%로 2020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은행은 높아지고 있던 기존 연체율에 더해 관세 영향으로 높아질 연체율까지 함께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에 은행들은 관세 영향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면서 여신 관리에 나서고 있다. 국민은행은 대미 수출 및 판매 비중이 크거나 현지 생산능력 확보가 부족한 산업 중심으로 수출 감소 영향과 재무적 대응 능력을 고려해 리스크를 파악하고 있다. 기업별로 관세 부과 영향도를 구분해 올해 말 정기 산업등급 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관세 위험에 노출된 이차전지 등을 중점관리업종에 편입하면서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은행권 관계자는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정부 정책에 따라 기업 지원을 하는 건 라이센스 산업인 은행 특성상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며 “은행 차원의 부담은 있지만 이를 감안해 자체 충당금을 마련하고 있으며, 정부 역시 일정 부분 방파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짐을 덜어주려 지원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8일 열린 상호관세 대응 점검회의에서 금융회사의 건전성 부담을 낮추기 위해 합리적 규제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금융위 관계자 또한 “은행 지원을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다인 기자
daink@kukinews.com
김다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