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6·3 대선의 핵심 키워드로 ‘통합’을 내세우며, 유세 기간 내내 실천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진정한 통합을 위해 ‘탕평인사·실용주의 정책·정치보복 근절’을 국민 앞에 약속했다.
이 후보는 22일 오전 제주시 동문로터리에서 진행된 유세에서 “대통령(大統領)의 통 자는 통치(統治)가 아니라 통합(統合)”이라며 “서로 싸우고 뺏고 찢으면 시너지가 안 난다. 다르다고 해서 틀린 게 아니다. 이 다름을 인정하고 100% 다 가지려고 하지 말고 51%만 갖고, 성과를 내서 결과를 증명해 다시 선택받는 것이 합리적인 정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6·3 대선 공식 유세가 시작 이후 대부분의 지역 연설에서 시민들을 향해 ‘통합’의 필요성과 실천 의지를 피력해왔다. 통합 행보를 통해 민주당 지지층 뿐 아니라 부동층의 표심을 공략하기 위해서다.
그는 ‘탕평 인사’를 시작으로 통합 행보의 첫 발을 내디뎠다. 민주당 선대위 구성에서도 ‘보수 책사’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상임총괄선대위원장으로 조기에 영입했고, 당내 계파를 가리지 않고 폭넓게 인재를 기용했다. 이후 국민의힘을 탈당한 김상욱 민주당 의원, 개혁신당을 탈당한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 등 보수 인사를 영입하며 “민주당이 진짜 빅텐트”라고 강조했다. 한 민주당 의원은 “선대위 구성부터 이 후보의 통합 실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후보는 ‘탈진영 실용주의 정책’도 내세웠다. 그는 구미 유세에서 “진영이나 이념이 뭐가 중요한가.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고 김대중 정책이면 어떤가”라며 “박 전 대통령의 정책 중 훌륭한 것은 베끼기로 했다”고 역설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이 후보가 중도 보수를 자칭하고, ‘경제’와 ‘성장’을 강조한 것도 실용주의적 맥락에서다”라며 “이 후보의 향후 정책 방향도 성장과 분배가 적절히 양립하는 방향이지 않을까 한다”라고 했다.
‘정치 보복’도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서울 용산 유세에서 “인생은 짧고 (대통령 임기 기간) 5년은 더 짧다. ‘너 그때 이랬지’ 탓할 시간이 어디있는가”라고 했다. 서울 영등포 유세에서도 “이재명 또는 그 주변을 많이 괴롭혀 불안하신 분들은 오늘부터 발 뻗고 주무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다만 선거를 2주 앞둔 최근에는 통합 메시지와 함께 ‘사법살인’ 등을 언급하며 국민의힘의 공세에 정면으로 맞서는 전략도 취하고 있다.
이 후보는 이날 경남 양산 유세에서 “정치인들이 편을 갈라 니편내편 만들고 결국 국민들을 쪼갰다. 남북이 갈라져 싸우는 것도 한탄스러운데 박정희 독재정권이 동서로 갈라서 싸움을 붙였다”며 “서로가 죽이려고 한다. 전혀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 저를 칼로 찌르지 않는가. 그 사람도 편갈이·세뇌 당한 것”이라고 했다.
인천 유세에서는 “조봉암 선생은 독재자 이승만에게 간첩으로 몰려 사법살인을 당했다”며 “이런 역사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방탄 유리 설치하고 경호를 강화한 것이 민주당 잘못인가. 저들이 그렇게 만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러한 정면 돌파 전략은 자칫 ‘통합’ 메시지를 희석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한국일보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실시한 대선 인식 웹조사 결과 ‘이재명 후보 당선 시 정치보복을 예상한다’는 응답이 53%에 달했다. (5월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웹 조사, 응답률 31.5%,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1.8%p, 중앙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