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IL, 지투파워와 액침냉각형 ESS 개발 및 사업 MOU 체결
S-OIL은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와 액침냉각 기술 기반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협약식은 이날 서울 마포구 공덕동 S-OIL 본사에서 양사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은 S-OIL의 액침냉각유 ‘S-OIL e-Cooling Solution’을 적용해 지투파워가 AI 제어 기반의 액침냉각형 ESS 신제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데 따른 것이다. S-OIL은 지투파워가 수행중인 산업통상자원부 과제(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이차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 연구개발)를 지원하는 과정에서부터 긴밀한 기술협력을 지속해 왔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액침냉각형 ESS의 연내 상용화와 공동 사업화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지투파워의 액침냉각형 ESS는 기존 공랭식 대비 화재 및 폭발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특히 S-OIL의 저점도·고효율 액침냉각유와 AI 기반 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운용에너지를 최대 30% 절감하고, 충·방전 효율은 약 10% 향상시켰다. 아울러 배터리 모듈별 열 발생을 정밀 제어함으로써 화재 위험을 근본적으로 차단했다.
S-OIL과 지투파워는 향후 ESS뿐 아니라 데이터센터용 액침냉각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S-OIL 관계자는 “ESS 시장에서 액침냉각 기술의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성장 열관리 시장에서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GS칼텍스, 사내 생성형 AI 통합 플랫폼 ‘AIU’ 도입
GS칼텍스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사내 생성형 인공지능(AI) 통합 플랫폼 ‘AIU’를 오픈했다고 8일 밝혔다.
AIU는 AI와 油(기름 유)를 합친 단어로, 전통적인 정유 산업에 AI 기술을 접목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 방향성을 상징적으로 담은 이름이다.
GS칼텍스는 임직원들이 생성형 AI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AIU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임직원들은 회사 데이터와 전문지식을 외부 생성형 AI 서비스에 업로드하지 않고도,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IU는 임직원들이 생성형 AI 기술과 회사 내부 데이터를 결합해 손쉽게 AI 에이전트(사람의 지시 없이도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지능형 디지털 도우미)를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U는 디지털 기술에 전문성이 없어도 최소한의 코딩으로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노코드(Nocode)·로우코드(Lowcode) 기반의 직관적인 개발 도구를 지원한다. 이로써 전문 개발자가 한 달에 걸쳐 만들던 앱을 임직원들이 일주일 이내에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또한, 임직원들이 직접 개발한 AI 에이전트를 AIU 플랫폼 내에서 공유할 수 있어 다른 직원들이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자신의 업무에 맞게 수정해 활용할 수 있다.
한편, GS칼텍스는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위한 근원적 혁신, 딥 트랜스포메이션(Deep Transformation)의 한 축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축적과 시스템 구축 등 디지털 기반을 강화해 왔다.
올해는 AI 시대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과 AI 트랜스포메이션(AX)을 통합한 ‘디지털 & AI 트랜스포메이션(DAX, Digital & AI Transformation)’으로 한 단계 진화된 새로운 일하는 방식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 AI 트랜스포메이션(DAX)은 디지털과 AI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하는 개념으로, AI 중심의 지능형 조직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이다. 디지털 기반 축적된 데이터와 시스템에 AI를 접목해 AI의 제안과 인간의 판단을 결합, 의사결정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인간과 AI와의 협업 강화로 임직원들은 AI를 가상의 동료로 삼아 데이터 수집·분석, 보고서 작성 등의 업무를 지원받으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전략적 판단에 집중할 수 있다.
GS칼텍스는 생성형 AI 기술을 업무 전반에 적극 도입해 AI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임직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국수력원자력, 유럽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수소 생산 기틀 마련
한국수력원자력이 유럽의 원자력 기반 청정수소 생산을 위해 체코와 본격적인 협력을 시작한다.
한수원은 7일(현지시간) 체코 국영 연구기관인 유제이브이-레즈(UJV-Rez) 본사에서 체코 원자력 청정수소 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연구에 협력하기로 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체코에서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술과 법·제도·안전규제 및 경제적인 요건을 검토하고, 향후 본격적인 수소 생산을 위한 최적 입지 선정 및 수요처 개발 등을 함께 수행하기로 했다.
수소는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유럽은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인증하기 위한 여러 지원제도를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력 및 에너지 가격 상승과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저렴하고 안정적인 저탄소수소 확보에 대한 회원국들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여 EU위원회는 재생에너지 외 원자력발전을 이용한 수소 생산도 중요한 탄소감축 수단의 하나로 관련 규정에 반영하기 위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내륙 지방에 위치한 체코와 같이 재생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유럽 국가들은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수원은 세계 최대 규모인 10MW(메가와트)급 저온 수전해 기반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설비를 구축하는 실증사업을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 9월 체코수소협회(HYTEP)와 체결한 ‘원자력 청정수소에 대한 사업지원 및 정보교류’협약을 기점으로 유럽에서 청정수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공영곤 한수원 수소융복합처장은 “이번 협약을 한국 기업이 글로벌 수소 선도 시장인 유럽 지역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 것”이라며 “대한민국 대표 청정에너지 공기업인 한수원은 한국뿐 아니라 체코 등 해외에서도 경제적이고 깨끗한 수소를 성공적으로 생산·보급해 탈탄소 시대에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