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당 대표와 최고위원 중심의 현행 최고위원회의 체제를 폐지하고 당 청년위원장과 여성위원장 등이 참여하는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하는 안을 제안했다.
국민의힘 혁신위는 1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진행된 2차 회의 결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의결했다. 혁신위는 향후 지도부에 혁신안을 전달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혁신위원인 호준석 당 대변인은 “당대표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하기로 했다”며 “중앙당의 지도체제와 리더십을 강화하겠다. 정책 역량을 쌓고 강화할 수 있는 정당, 잘 싸울 수 있는 정당이 되기 위해서는 리더십이 확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선 패배 직후 당 일각에서 거론된 집단지도체제로 전환 가능성에 선을 그은 것이다.
다만 현행 최고위원제도는 폐지된다. 호 대변인은 “최고위를 통해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하는 모습이 비추어졌던, 애매한 혼합형 지도체제를 끝내고 당 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가지고 정책 역량을 쌓고 이길 수 있는 정당으로 만드는 제도를 채택하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대신 최고위는 중앙당무회의로 대체된다. 중앙당무회의는 당 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당 대표가 지명하는 원외당협위원장 2명 등 총 9명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호 대변인은 또 당대표 견제 및 지역별 민심 반영을 위한 ‘전국민심회의’ 신설 방안도 내놨다. 이는 당헌 제23조의 상임전국위 기능을 행사하는 기구다. 17개 시·도당의 각 지역 당원들이 직접 투표로 대표를 선출하고, 이들이 전국민심회의 의장인 당대표에게 지역 민심을 전달하도록 해 권력을 견제하는 방식이다.
혁신위는 또 각 시·도당별로 5~10명의 최고위원도 선출하게 해 현장 정치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방선거 공천권을 비롯해 중앙당의 권한을 각 시·도당으로 일부 이양하는 내용도 혁신안에 담겼다.
비례대표 후보 공천에서도 혁신안을 내놨다. 혁신위는 과거처럼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다 결정하는 것이 아닌 지역 당원이 투표해 결정하는 구조로 바꾸겠다고 했다. 당세가 약한 취약지역과 청년에 대한 할당도 크게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혁신위는 향후 비대위 의결을 마치는대로 당헌·당규 개정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차기 지도부부터 혁신안 적용을 받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