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후면 광복 80주년을 맞는다. 주권을 되찾은 이 땅에서 많은 시민은 지금의 서울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서울의 미래에 대해서는 확신을 갖지 못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이들이 바라는 것은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문제 해결과 더 안전한 사회였다.
서울연구원이 지난달 30일 발간한 보고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의미를 서울시민과 공유하고 계승하기 위한 정책 마련 필요’에 따르면, 응답자의 과반(54.0%)이 “서울시민인 것이 자랑스럽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약 7%였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긍심 정도도 높았다.
조사는 광복 이후 서울시민이 이룬 발전상을 평가하고 미래상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됐다. 올해 1월,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544명(외국인 제외)을 대상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인구 비례에 따라 표본을 추출해 실시됐다.
서울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는 이유로는 ‘최첨단의 편리한 도시 인프라가 갖춰진 점’(18.7%)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15.5%), ‘대한민국 수도’(15.3%), ‘체계적인 치안 시스템’(14.3%)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서울 발전 정도에 대한 분야별 평가에서는 ‘도시 인프라’가 80% 이상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이어 ‘국제적 개방성’(76.0%), ‘문화 융성’(74.6%) 순으로 높았다. 반면 ‘노동임금’(51.2%), ‘지방자치’(53.0%), ‘자연환경·안전’(59.4%)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점수가 매겨졌다.
미래 전망에 대한 기대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향후 서울 발전 가능성이 “낙관적이다”는 응답은 45.4%로 절반을 넘지 못했고, “비관적이다”는 응답도 20.6%에 달했다.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본 분야는 현재 긍정 평가를 받은 분야들과 유사한 순서를 보였다.
보고서는 “광복 이후 서울 발전뿐 아니라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시민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이에 관심을 갖고 발전 방향을 정책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의 미래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저출산과 고령화’(21.0%)가 꼽혔다. 이어 ‘경제 불황과 저성장’(18.6%), ‘양질의 주택·교육·의료 등 사회보장 서비스 제공’(16.2%), ‘남녀·세대·빈부 간 사회 갈등 해소’(15.3%) 순이었다.
서울이 지향해야 할 미래 사회상으로는 ‘질서 있고 안전한 사회’(16.0%)가 가장 높은 비율로 꼽혔다. 이어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14.7%), ‘도시 인프라가 잘 갖춰진 사회’(11.8%), ‘다양성이 존중받는 개방적인 사회’(11.2%)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광복을 통한 자주권 회복은 서울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며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도 시민의 자주권을 강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 개개인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하고, 서로 다른 생각을 포용하며 협력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사회를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