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절박성요실금약 선택기준 “효과아닌 유해성”

절박성요실금약 선택기준 “효과아닌 유해성”

기사승인 2012-07-13 08:42:00
[쿠키 건강] 토비애즈, 디트루시톨 등 절박성요실금의 약물치료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고 미국 미네소타대학 연구팀이 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1966~2011년에 보고된 여성 절박성요실금에 대한 약물치료 무작위 비교시험을 메타분석한 것이다.

대상 기준에 해당된 94건의 시험을 분석한 결과, 약물치료받은 여성 1천명 당 회복된 환자는 페소테로딘(제품명 토비애즈)에서 130명, 톨테로딘(제품명 디트루시톨) 85명, 옥시부티닌(제품명 안트롤) 114명,
솔리페나신(제품명 베시케어) 107명, 트로스피움이 114명이었다.

한편 1천명 당 부작용에 따른 치료 중단은 토비애즈에서 31명, 옥시부티닌 63명, 솔리페나신 13명, 트로스피움 18명이었다.

연구팀은 “여성의 절박성요실금에 대한 약물치료 효과는 적은 만큼 유해성을 감안해 약물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포뉴스 송정현 기자 jhsong@medical-tribune.co.kr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혜영에 비친 ‘파과’ 조각의 얼굴…“여자 아닌 인간으로 살아남았다”

영화 ‘파과’ 속 조각이 지닌 힘이 “수수께끼” 같다고 했다. 그러나 이같이 말한 배우 이혜영을 마주한 이는 더욱 “수수께끼” 같은 그의 힘에 압도될 것이다. 28일 서울 소격동 한 카페에서 만난 이혜영은 “조각을 늙은 여자라고 생각한 적 없다. 그녀가 놀랍게도 지닌 힘에만 집중했다”며 밝히며, 본인 역시 여자가 아닌 ‘한 인간’으로 살아남기 위해 노력했다고 돌아봤다.영화 ‘파과’(감독 민규동)는 바퀴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