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박예슬 기자] 물건을 어디에 뒀는지 기억나질 않거나, 준비해뒀던 말이 생각이 안 나는 등 일상생활에서 기억이 깜박하는 일은 누구에게나 종종 일어난다. 그런데 이렇게 깜박거리는 일이 잦아지다보면 혹시 본인이 건망증이 아니라 치매는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게 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과연 건망증과 치매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 윤영철 중앙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를 통해 알아봤다.
윤영철 교수는 “치매는 질환 자체가 아니라 알츠하이머, 루이체, 파킨슨, 뇌졸증 등의 병으로 인해 기억장애가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건망증과 기억장애로 나눠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쉽게 말해 건망증은 기억이 저장은 돼있지만 그 기억을 바로 꺼내는 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때 기억이 되살아날 수 있는 힌트를 주면 잊고 있던 기억이 다시 생각난다. 반면에 치매는 기억을 저장하는 것 자체부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장된 기억이 없기 때문에 힌트를 주더라도 기억해낼 수가 없다.
즉 지금 당장은 기억이 나질 않더라도 나중에 그때 상황이 회상이 되는지 안 되는지에 따라 건망증과 치매를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 윤 교수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물건을 어디다 뒀는지 못 찾고 있다가 나중에 찾은 경우, ‘아 여기다 뒀었지’하면 건망증이고 물건을 둔 상황 자체를 기억하지 못하면 기억장애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기억장애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치매인 것은 아니다. 기억장애는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주관적 기억장애’가 나타나고, 그 다음에 ‘경도인지장애’, 여기서 더 진행됐을 때를 ‘치매’라고 한다. 주관적 기억장애는 본인이 느끼기에 기억장애가 있는 것 같지만 실제 검사를 해봤을 때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는 검사를 해봤는데 이상은 있지만 일상생활에는 지장 없는 정도이며, 만약 검사결과 이상도 있고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있으면 치매로 보면 된다.
이와 관련해 치매는 기억장애 외에도 다른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윤영철 교수는 말했다. 윤 교수는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를 예로 들면, 우리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뿐 아니라 두정엽과 측두엽 부위 쪽도 손상이 된다. 따라서 거리나 방향감각, 시공간 능력이 떨어져서 길을 못 찾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또 계산, 언어, 동작과 관련된 능력도 떨어진다. 예로 도구사용에 문제가 생긴다. 젓가락질이나 카메라 조작, 심한 경우 리모콘이나 휴대폰도 사용하지 못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기억장애와 무관한 치매도 있다. 전두측두치매는 뇌의 앞쪽 전두엽이 손상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억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대신 성격이나 언어 문제를 일으킨다. 참을성이 떨어지고 폭력성이 높아져 화를 잘 내기도 하고 말하는 기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혈관성치매는 뇌혈관이 막혀 생기는 것으로 자세나 걸음걸이 등에 문제가 생긴다.
치매는 65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되며 그 이하라고 해도 50대 정도로 보통 30~40대에서 발생할 확률은 거의 드물다. 혹시라도 건망증인지 치매인지 헷갈린다면 병원에서 심리검사 및 뇌기능 검사, 나아가 알츠하이머 질환여부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는 아밀로이드 측정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본인의 상태를 알아볼 수 있다. yes228@kukimedia.co.kr
[쿠키영상] 무시무시한 위력의 괴물차…장갑차 머라우더
[쿠키영상] '후끈' 사막의 열기를 머금은 한나 퍼거슨의 섹시 비키니 화보
[쿠키영상] '개친절' 보인 빨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