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 순자산 증가율 가계에 역전

지난해 기업 순자산 증가율 가계에 역전

기사승인 2016-07-07 09:02:15 업데이트 2016-07-07 09:02:18

지난해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이 가계에 역전되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15년 순자산 증가율은 가계 6.1%, 기업 2.2%로 기업의 증가율이 가계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은행의 국민대차대조표를 이용해 경제주체별 자산현황 및 시계열 추이를 비교한 결과, 2008~2015년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이 가계를 상회한 횟수는 7개 연도 중 2회(2011년, 2014년)에 그쳤다.

이는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의 변동폭은 경기에 따른 부침이 심한 반면 가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률 약세가 지속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2008~2015년 가계의 순자산은 4899조원에서 2015년 7176조원으로 연평균 5.6%씩 늘었다. 동기간 기업의 순자산은 1112조원에서 1467조원으로 연평균 4.0%씩 늘어나 가계의 순자산 증가속도가 기업보다 빨랐다. 전경련은 가계와 기업이 생산활동을 지속해 소득을 창출하고 경제가 별다른 충격 없이 성장하는 한, 순자산 규모는 계속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2015년 가계가 보유한 순자산은 기업의 4.9배에 달했다. 자산의 경우 가계 자산이 9598조9000억원으로 기업(5922조4000억원)의 1.5배에 그쳤다. 전경련은 자산과 순자산 간 격차가 큰 것은 기업이 다른 주체보다 부채를 많이 지는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기업의 현금성자산 비중은 9.5%, 가계 17.9%로, 기업의 현금 보유 비중이 가계의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 가계는 토지 등 비생산자산이 44.8%로 가장 많았고, 기업은 생산자산이 45.1%로 가장 많으며 건설자산(26.8%), 설비(9.1%), 재고(5.1%), 지식생산물(4.0%)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국은행의 순자산은 유보금과 비슷한 개념”이라며 “가계든 기업이든 유보금이 늘어나는 것은 경제가 성장하는 한 당연한 것으로, 사내유보금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사내유보금 환수 등의 논쟁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