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2일 (목)
2349곳 먹는 물에서 우라늄·납 등 발암물질 초과 검출

2349곳 먹는 물에서 우라늄·납 등 발암물질 초과 검출

기사승인 2017-09-25 19:55:04 업데이트 2017-09-25 19:55:10
전국 상수도·지하수·약수터 등 2349곳에서 우라늄·납·알루미늄·비소·망간·크롬 등의 중금속이 기준치에 초과해 검출된 것이 밝혀졌다. 해당 중금속들은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어 먹는 물 수질개선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른정당 홍철호 의원(경기 김포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전국 16곳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조사․분석 의뢰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상수도·지하수·약수터 등에서 우라늄·납·알루미늄·비소·망간·크롬 등의 중금속이 기준치에 초과해 검출된 건수는 ▲2012년 564건 ▲2013년 477건 ▲2014년 304건 ▲2015년 337건 ▲2016년 416건 ▲2017년(7월말 기준) 251건 등 최근 5년 7개월간 총 2349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지역이 626건으로 전국에서 중금속 초과 검출건이 가장 많았으며, ▲충남 404건 ▲경기 243건 ▲충북 236건 ▲강원 197건 ▲대전 133건 ▲서울 119건 ▲경남 103건 ▲부산 102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례별로 보면 올해 6월 인천 강화군 송해면의 한 지하수에서 망간이 기준치에 3배 가까이 초과 검출됐으며, 부산의 경우 올 3월 해운대여자고등학교에서 쓰는 지하수에서 기준치의 3배에 해당하는 비소가 나왔다.

서울 역시 지난 7월 한 약수터에서 비소가 3배 이상 측정됐으며, 대전은 유성구를 중심으로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이 최대 4배까지 검출됐다.

경기도는 올 3월 성호초등학교에서 쓰는 지하수에서 망간이 기준치의 15배 이상 나왔으며, 신안초등학교 역시 망간이 6배 가까이 검출됐다. 7월 양주시의 한 지하수에서도 15배 이상의 망간이 나왔다.

강원도의 경우 지난 7월 지하수가 아닌 상수도에서도 비소가 6배 이상 검출됐고, 4월에는 약수터에서 무려 59배에 해당하는 철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홍철호 의원은 “지하수에서 중금속 검출시 상수도 시설을 새롭게 구축하고, 상수도의 경우 정수처리장치를 개선해 확대 설치하는 것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현재 수질검사횟수는 지자체가 임의적으로 정하고 있는데 수질관리 기준을 강화하도록 현행 ‘먹는물관리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현행법에 따라 먹는 물 수질관리 책임이 환경부에 있는 만큼 환경부가 필요한 시책을 조속히 마련해 본격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선관위, ‘부정선거’ 영화 정면 반박…“이미 해소된 의혹, 근거 없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부정선거 음모론을 다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를 관람하면서 ‘부정선거’ 논란이 재점화된 가운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영화에서 제기된 의혹에 대해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선관위는 22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영화에서 다뤄진 내용은 이미 대부분 해소된 사안이거나, 명확한 근거 없이 부정적이고 자극적으로 편집된 것”이라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부추기는 주장에 대해 깊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