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진화하는 카카오톡…‘페메’로 떠난 10대 되찾긴 ‘역부족’

진화하는 카카오톡…‘페메’로 떠난 10대 되찾긴 ‘역부족’

기사승인 2018-05-29 05:00:00

카카오톡이 업데이트 등을 통해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10대 이용자들의 이탈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우려가 인다.

최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대대적인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이번 업데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답장하기’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대화 중 빠르게 지나간 메시지의 내용에 답을 하고 싶을 때 해당 메시지를 길게 누르면 간편하게 답장할 수 있다.

‘카카오TV 미니플레이어’ 기능도 추가됐다. 해당 기능을 통해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영상을 보면서 대화할 수 있다. 이밖에도 기존에 카카오톡 채팅방 목록에서 1개의 채팅방만 고정할 수 있었던 것을 최대 5개까지 늘렸다. 또 카카오톡 이용자는 채팅방 내 미디어 파일도 관리할 수 있고 친구목록에 생일을 맞은 이용자가 따로 표시돼 잊지 않고 챙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 메신저(페메)’를 완전히 따돌리기는 멀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추가적인 기능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클릭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7~69세) 중 2948만명이 카카오톡 메신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메 이용자는 558만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 수 1위는 카카오톡이, 2위는 페메가 차지했다. 페메 가입자 중 23.3%는 13~18세 청소년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페메 총 이용시간 비중은 60.3%다.

경상도의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는 김동현(26)씨는 “10대들이 카카오톡보다 페메를 이용하는 이유는 페북을 하면서 별도의 창을 켜지 않고 실시간으로 친구들 로그인 상태를 파악, 연락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페메도 단체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카카오톡이 10대들이 관심을 보일만 한 차별화된 기능을 도입하지 않는 한 10대들의 페메 이용률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카카오 측은 페메 이용을 선호하는 10대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10대 등 세대별 메신저 트렌드와 사용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조사 및 분석하고 있다”며 “카카오톡은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를 통해 지속해서 진화와 발전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남가언 기자 gana911@kukinews.com
남가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인제 설악그란폰도 대성황…전국 5000여 마니아 '은빛 질주'

전국 자전거 동호인들의 대축제인 2025 설악그란폰도 대회가 17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이날 강원 인제군 상남면을 중심으로 홍천군과 양양군 일대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는 전국에서 5000여 마니아들이 몰려 명성을 실감하게 했다.전국 최고의 자전거 대회로 알려진 설악 그란폰도는 치열한 접수령을 넘은 5003명의 동호인이 그란폰도(208km), 메디오폰도(105km)에 참여해 힘찬 라운딩을 펼쳤다참가자들은 상남면 시가지에서 출발해 원당삼거리~구룡령~서림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