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이현정 “수문 전면 개방하자 녹조 최대 40% 감소, 재앙으로 밝혀진 4대강 사업”

이현정 “수문 전면 개방하자 녹조 최대 40% 감소, 재앙으로 밝혀진 4대강 사업”

기사승인 2018-07-02 14:22:48 업데이트 2018-07-02 14:22:52

정의당 이현정 생태에너지본부장은 “지난 금요일 환경부는 1년 동안의 4대강 보 수문 개방 중간 결과를 보고하고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며 “결과 수문을 완전히 열어젖힌 금강의 세종보, 공주보에서는 조류 농도의 간접지표인 클로로필 에이가 개방 전과 비교해 40% 감소했으며, 영산강 승촌보에서는 37% 줄어들었으며. 생태계도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수질오염과 녹조 문제가 가장 심각하고 4대강 보 중 절반인 8개의 보가 자리 잡고 있는 낙동강의 경우 제대로 된 수문 개방을 시도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가장 큰 이유는 농업용수 이용과 관련한 민원인데, 이는 수위를 최저수위까지 낮춰도 취수가 가능하도록 설계 되어 있어야 하는 규정을 맞추지 않은 결과로, 강물 속에 감춰졌던 4대강사업의 또 다른 문제점이 드러난 것이다. 최근 발생한 대구 수돗물 파동의 해결책은 상수원 이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낙동강 수질의 개선에 있고, 이를 위해서는 오염원 관리와 함께 4대강 보 철거가 시급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발표는 4대강 살리기라는 이름이 붙은 사업이 아이러니하게도 생태계와 수질을 망가트린 사업이었음을 정부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2018년 말 4대강 보 처리방안 마련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초기 중점 업무지시는 최소 반년, 낙동강의 경우 사실상 기약 없이 늦어지게 됐다”며 “이제 더욱 박차를 가해 민관이 함께하는 4대강 재자연화 조사평가위원회를 세우고 보 철거 등 수질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복원 실행 계획을 세워야 할 때이다. 이와 함께 과거의 잘못된 결정을 낱낱이 밝혀 이와 같은 생태계 재앙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