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에서 13일 태조어진 봉안 의례 재현 행사가 열렸다.
태조어진 봉안의례는 1688년(숙종 14년)에 서울 영희전의 태조어진을 새로 모사하기 위해 경기전의 태조어진을 서울로 가져 갔다가 다시 전주 경기전으로 다시 가져오는 과정을 고증을 통해 진행하는 행사다.
이날 행사는, 진발의식과 태조어진 봉안행렬, 봉안고유제로 구성됐다.
오후 2시부터 진행된 이날 재현행사는 시청 앞을 주정소(晝停所, 왕이 행차 중에 멈추어 쉬는 곳)로 정하고, 행렬의 출발을 알리는 진발의식(進發儀式, 출발을 알리는 의식)을 시작으로 봉안장소인 경기전까지 봉안행렬이 이어졌다.
태조어진 봉안행렬의 선두는 어진을 호위하는 전라감사가 이끌고, 전사대와 신여(神輿), 향정자(香亭子), 전부고취, 신연(神輦), 후부고취, 중사, 사관, 도제조, 후사대 등이 뒤따랐다.
이날 봉안행렬은 경기전 정문을 통과해 강연소에 도착, 의장이 도열한 가운데 신연(神輦)에 모셔진 어진궤를 신여(神輿)로 옮겨졌다. 이어 외신문과 내신문을 통과해 경기전 정전에 도착한 어진궤는 신여에서 꺼내져 정전에 모셔졌다. 이후, 경기전제례보존회(대표 이준기) 주관으로 태조어진 봉안을 알리는 고유제(告由祭, 태조어진 봉안을 잘 마쳤음을 알리는 제례)를 끝으로 모든 행사가 마무리됐다.
한편, 전주시는 향후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봉안의례를 재현하고,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축제형·시민참여형 행사로 만들 계획이다.
신광영 기자 shingy14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