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6일 (금)
농진청, ‘지황’ 국산 품종 개발․보급

농진청, ‘지황’ 국산 품종 개발․보급

기사승인 2018-11-06 15:58:54 업데이트 2018-11-06 15:58:56

농촌진흥청은 지황의 국산 품종 개발과 보급으로 농가 소득을 올리고 수입을 대체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6일 농진청에 따르면 이번 품종 개발의 성과는 나고야의정서 이행을 위한 국내법 시행으로 우리나라가 종자 주권을 확보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는다.

지황은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의 주재료와 부재료로 이용되며, 국내 약용작물 생산 품목의 상위를 차지하는 주요 약용작물이다.

그러나 습해에 약해 뿌리썩음병이 발생하면서 안정적인 재배가 어려워 해마다 많은 물량을 중국에서 수입해왔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생산성과 품질이 좋고 병에 강한 지황 총 11품종을 개발했다. 주요 보급 품종은 ‘토강’, ‘다강’, ‘고강’ 세 품종으로, 국내 주생산지인 충남 금산과 전북 정읍, 경북 영주, 경북 안동 4개 지역에서 80% 이상을 재배하고 있다.

주요 보급 품종은 기존 품종 대비 수량이 9%∼15% 많아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뿌리썩음병 등에도 강해 재배가 쉽다.

또한, 국산 품종은 기능 성분인 카탈폴 함량이 외국산보다 높고 품질도 좋아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에 많이 쓰인다.

재배 농가 수는 지난해 606농가(210ha)로, 10년 전 356농가(82ha)에 비해 1.7배 늘었으며, 130억원(2008)이던 생산액도 320억원(2017)으로 해마다 9.8%씩 꾸준히 늘고 있다.

지황의 국내 재배 면적 증가와 생산량 증대가 맞물리면서 지난 10년간 중국에서 수입한 물량도 연평균 3.6%씩 줄어 수입 대체 효과도 있다. 

유범수 기자 sawaxa@kukinews.com

유범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킥보드 없는 거리’ 서울 최초 시행…‘홍대·서초’ 시험운영 현장은

“인도를 걷고 있어도 불안해야 하는 게 말이 됩니까. 뒤에서 킥보드가 ‘쌩’ 하고 지나가서 깜짝 놀란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서울 서초구에 거주하는 시민 A씨는 전동킥보드와 관련한 불편을 이렇게 토로했다. 보행자와의 충돌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의 통행을 제한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서울시와 서울경찰청은 16일부터 마포구 홍대 걷고싶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