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기지로 결핵확산 막았지만, 방지책이 없다

의료진 기지로 결핵확산 막았지만, 방지책이 없다

기사승인 2019-02-23 00:00:00

최근 부산의료원 투석실에서 결핵확진환자가 발생했다. 이어진 전수조사결과, 잠복 결핵균을 보유한 이들이 17명이나 확인됐다. 다행스러운 점은 진료를 받으러 온 결핵의심환자를 의사가 빠르게 확인해 환자들과 분리해 확산을 막았고, 결핵검사 후 적절한 치료로 완치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련의 사건을 두고 국민들은 결과보다는 공기 중 전파가 가능한 결핵환자가 장시간 다수의 환자가 모이는 투석실에 있었다는 점 자체에 집중하는 모습니다. 같은 투석실에서 치료를 받던 환자 송영주(62)씨는 KNN과의 인터뷰에서 “치료를 받으러 간 병원에서 오히려 잠복결핵에 감염됐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병원은 “결핵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에 의한 오해”라고 설명했다. 활동성 결핵이 아닌 잠복결핵은 과거 결핵을 앓았거나 BCG(결핵예방백신) 주사를 맞은 경우에도 양성 반응이 나오며, 전국민의 약 30%가 비활동 결핵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자신이 잠복결핵 양성자인지 여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벌어진 일이라는 것.

병원 관계자는 “투석을 받으러 온 환자 중 기침을 하는 환자가 있어 의료진이 결핵을 의심해 지침에 따라 조치를 취했고, 확진 후 감염자 확인을 위해 당시 혈액투석실에 있었던 환자 46명과 의료진 7명 등 총 53명에 대한 검사가 이뤄졌다”면서 “밀접접촉자인 의료진 모두에게서 결핵균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병원에서 감염이 확산됐다고 보긴 어렵다”고 답했다.

결핵 확진자와 가장 가까이에서 접촉했던 의료진 전원에게서 결핵균이 발견되지 않은 만큼 감염의 확산은 없었고, 잠복결핵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17명의 경우 기존에 결핵을 앓았거나 BCG 백신을 접종해 결핵균을 보유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렇지만 만약 의료진이 제때 결핵 의심자를 발견하지 못했다면 아찔한 집단감염사태가 벌어졌을 수도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에 대처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질병관리본부 결핵담당자는 “결핵에 대한 두려움과 비교해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의료진이 1차적으로 환자의 결핵여부를 파악하지만, 결핵을 의심할만한 증상이 나타나면 환자 스스로도 주의를 해야하는데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여부를 사전에 파악할 수는 있지만 1차적으로는 흉부 방사선촬영(X-ray)과 결핵균 보유여부를 확인하는 혈액검사를 해야하고, 결핵으로 확진되기 전에는 1~3만원에서 5~10만원에 이르는 검사비용을 환자가 부담해야해 권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의료진도 결핵이 의심되지만 검사를 강제할 수 없어 확산방지에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결국 환자가 2주 이상 기침이나 발열, 수면 중 식은땀, 체중감소가 이어지는 등 결핵이 의심될 경우나 결핵이 의심되는 이들과 폐쇄된 장소 등에 함께 있었다고 판단될 경우 가까운 결핵치료 지정 의료기관을 빠르게 방문해 감염여부에 대한 검사를 받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이다. 평소 기침을 할 때는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좋다.

한편, 전문가들에 따르면 잠복결핵은 결핵균이 몸에 침투했지만 면역력에 의해 억제돼 전염력이나 증상이 없는 상태로, 잠복결핵의 10% 정도(2년 이내 5% 정도)가 활동성 결핵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결핵에 걸리는 환자가 매년 줄어들고는 있지만 연간 3만 가량의 환자가 생기며 잠복결핵환자가 전 국민의 30%를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