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8일 (수)
인하대, 나뭇잎 등 천연재료 활용 전기 생산 기술 개발

인하대, 나뭇잎 등 천연재료 활용 전기 생산 기술 개발

기사승인 2019-02-28 10:52:05

인하대학교 연구팀이 나뭇잎 등 천연재료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하대는 물리학과 정종훈 교수와 김현수(27) 김도형(25) 이동우(26) 공대솔(24) 연구팀이 나뭇잎과 한지, 셀룰로오스 등 천연재료와 카본 나노 튜브 전극을 활용해 낮은 주파수의 역학적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정 교수 연구팀은 벚나뭇잎과 카본 나노 튜브 전극을 번갈아 층층이 쌓은 장치로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고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카본 나노 튜브 전극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특이한 표면 구조를 만들었고 투명하면서도 온도와 습도에 강하고 자외선에 민감하지 않다.

또 전기 전도도가 매우 크고 역학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강점을 지니고 있어 계절변화에 따라 물리화학적 변화가 큰 천연재료를 활용해도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천연물질과 천연부산물의 마찰 전기 에너지에 적합한 마이크로파 접합된 단일벽 카본 나노 튜브’라는 제목으로 이달 에너지 분야 학술지 ‘Nano Energy’ 에 게재됐다. 국내 특허도 출원했다.

김현수 연구원은 천연재료를 마찰 발전에 이용하려는 연구는 이제 초창기다. 카본 나노 튜브 전극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계속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이현준 기자 chungsongha@kukinews.com

이현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낙연의 변심, 결국 후배들도 등 돌렸다…신정현 새미래민주당 탈당

신정현 전 새로운미래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이 ‘새미래민주당’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지난해 12월 “이대로는 희망이 없다”며 ‘새로운미래’ 창당을 주도했던 신 전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당과 결별한 이유는 바로 이낙연 전 국무총리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지지 선언이었다.신 전 위원장은 2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의 새미래민주당은 그날의 창당 정신에서 너무나 멀어졌다”며 “반헌법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