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주택업자, 힐스테이트 북위례 분양가 부풀려 2300억 챙겨”

경실련 “주택업자, 힐스테이트 북위례 분양가 부풀려 2300억 챙겨”

기사승인 2019-04-15 14:15:11 업데이트 2019-04-15 14:15:14

주변 시세보다 2억~3억원 정도 저렴한 분양가로 청약통장 7만여 개를 끌어 모았던 ‘힐스테이트 북위례’가 로또분양이 아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간접비와 토지비용 관련 이자를 부풀려 주택사업자와 건설사가 최대 2300억원 가량을 뒷돈으로 챙겼다는 분석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5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토지를 강제 수용해 조성한 공공택지가 천문학적 이윤 추구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경실련은 “LH공사·SH공사 자료와 동탄2신도시 민간아파트 분양가 등을 분석한 결과, 힐스테이트 북위례의 적정건축비는 평(3.3㎡)당 450만원가량이지만 실제 건축비는 912만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토지비용에 대해서도 “정부가 힐스테이트와 같은 시기 매각한 부지에 분양된 위례포레자이는 매입가 대비 기타 비용이 5%지만, 힐스테이트는 17%로 3배가 넘어 총 413억원이 부풀려졌다”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주택·건설업자들이 힐스테이트 북위례 건축비 명목으로 1908억원, 토지비 명목으로 413억원을 부풀려 총 2321억원의 분양수익을 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분양수익에 대해 경실련은 “입주자모집공고문에 공개한 신고 이윤 136억원의 17배, 건축비용의 5%로 산정되는 적정이윤의 20배 규모”라고 분석했다.

김성달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국장은 “크게 부풀려진 간접공사비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안전에 중요한 설계비·감리비는 2010년 분양에 들어간 송파 장지12·13지구의 절반 수준으로, 검증할 수 없는 사업상 경비에서 크게 거품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최승섭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팀장은 “이같은 엉터리 분양원가 공개에도 불구하고 하남시청은 제대로 된 검증을 하지 못했다”며 “담당 공무원들이 분양원가 심사·승인업무를 엉터리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실련은 "공공택지를 추첨받은 주택건설업자는 특별한 노력 없이 고분양으로 주변 집값을 자극해 주거안정을 해치고 부당한 이득을 사유해왔다"며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3기 신도시도 이런 방식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와 국회를 향해 “신도시개발과 택지공급 등 개발·분양방식을 전면 개선하고, 분양가상한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 건축비 상한선을 정해 무분별한 건축가산비 책정을 막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헌동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본부장은 “오늘을 시작으로 그동안 신도시 아파트 건축에서 정부와 지자체, 시행사들이 분양가를 얼마나 부풀려 왔는지 상세히 분석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