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 접근성과 이해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미세먼지와 노인의 건강’ 토론회에서 채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래질병연구센터장은 “하루에도 수시로 바뀌는 미세먼지에 대해 노인은 매스컴 등을 통해서 접할 뿐이라 정보 접근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13년 미세먼지를 흡연과 동급 수준의 1급 발암물질로 규정했으며 UN 인권이사회는 대기오염에 의한 조기 사망자가 연간 700만명이라고 발표했다. 또 OECD에서는 2060년까지 우리 국민 900만명이 미세먼지로 조기 사망할 것을 경고하기도 했다. 미세먼지는 이제 국가재난 수준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미세먼지에 대한 정책은 아직 부족하다는 의견이 계속되고 있다. 채수미 센터장은 “미세먼지는 간접적이고 장기적으로 문제를 발생시킨다”면서 “정책적으로 긴급성이 떨어져 건강보험 정책에서도 우선순위에 밀리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피해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됐지만, 실제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한 미세먼지 연구는 20여건에 불과하다고 채 센터장은 지적했다.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도 채 센터장은 미비하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저감 대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건강 보호 대책’에 대해서는 걸음마 단계라는 것. 실제로 미세먼지와 관련해 들어가는 2조2000억원이라는 예산도 대부분 저감 정책으로 쓰이고 있다. 건강 보호 대책에 대해서는 마스크 지원 정도에 불과했다고 채 센터장은 설명했다.
마스크를 지원하고 있지만 마스크가 미세먼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도 끊이지 않다. 채 센터장은 “마스크를 권고하는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면서 “마스크 착용 효과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는 상황에 교육부·환경부·기상청에서는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는데 그게 능사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노인의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 채 센터장은 우려했다. 그는 “노인의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많이 떨어진다”면서 “미세먼지는 하루에도 수시로 바뀐다. 한 번 확인하는 것으로는 대응이 어렵다. 하지만 노인은 매스컴 등을 통해 확인한다. 시도 단위의 정보에 불과해 본인이 사는 지역의 심각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 핸드폰으로 발송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문해력이 낮은 노인도 많은 편이고 핸드폰 사양이 낮아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일도 있다”고 말했다.
이 대안으로 채 센터장은 ‘미세먼지에 대한 노인 행동요령’을 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다수 노인이 미세먼지가 심각하다고 인식하면서 그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나이가 들어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 건강 문제에 대해서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는 경향으로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다.
채 센터장은 “개인의 건강이 사회적·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하다”며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하는 문제라고 인식하기 어렵다. 정부로부터 적극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