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으로 고민하고 있다면 음식을 섭취할 때 조금은 싱겁게 간을 맞추는 것부터 시작하면 어떨까. 전문가들은 소금 섭취부터 비만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권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소금 자체가 비만을 직접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건강을 위해 적당량의 소금섭취가 필요하다. 소금의 80~99%를 이루는 염화나트륨은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혈액에 약 0.9% 농도로 녹아있다.
더구나 나트륨이 인산과 결합해 산-알칼리 평형을 조절하고 근육의 수축작용과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에도 관여한다. 심장기능의 작동이나 영양소의 흡수, 위액의 구성성분인 염산생성 등의 역할도 수행한다.
문제는 나트륨의 성질이다. 나트륨 자체는 칼로리가 없어 지방으로 신체에 직접 쌓이지는 않지만, 수분 섭취량을 늘리고 흡수된 수분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도록 해 몸이 붓고 부기가 빠지지 않아 살이 찌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비만치료 특화 의료기관 365mc 대구점 서재원 대표원장은 “염분이 수분을 머금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몸 안에 염분이 많으면 같은 양의 물을 마셔도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그대로 쌓여 부종이 된다”며 “이로 인해 몸이 전반적으로 붓고 살이 쪄 보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몸 속 수분이 정체되면 체중이 증가하고, 늘어난 체중이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실제 나트륨과 비만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보건당국의 자료에 따르면 평소 짜게 먹는 사람은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비만이 될 위험이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나이가 들수록 노폐물을 걸러 배출시키는 신장 속 네프론이라는 소단위체가 줄어 나트륨이 쉽게 제거되지 않아 체중증가 우려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복지부는 청소년일수록 짠 음식과 비만의 상관관계가 더 뚜렷하다고 밝히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은 김치나 젓갈, 찌개 등 짠 음식을 많이 먹는 한국인의 경우 1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권고량인 2000㎎의 약 2.4배인 4878㎎에 달하는 만큼 적절한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나트륨 섭취량을 줄여야한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쉽지는 않아 보인다. 하루 두 끼 이상을 외식으로 해결해야 하는 직장인은 하루 권장량 이하로 염분을 섭취하기 어렵다. 혼밥족(혼자 밥을 먹는 이들)이 늘고 배달음식이나 편의점 즉석식품, 포장식품, 냉동식품, 기타 가공식품을 즐기는 이들도 많아졌다.
이와 관련 서 원장은 “나트륨과 정제된 탄수화물은 수분 정체를 유발하는 주 원인으로 메뉴를 고를 땐 양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을 선택하고, 주문시 되도록 싱겁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이어 “국·찌개·면류는 되도록 건더기 위주로 먹고, 나트륨 함량이 많은 김치는 4~5쪽 이내가 적절하다”면서 “채소에 풍부한 칼륨은 나트륨의 체외배출을 촉진시키므로 생채소를 자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칼국수 1그릇에는 나트륨 2900㎎, 우동과 라면 한 그릇에는 2100㎎, 물냉면은 1800㎎, 자반고등어찜 1토막에는 1500㎎, 피자 한 조각(200g)에는 1300㎎, 배추김치 100g(10조각)에도 무려 1000㎎의 나트륨이 들어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