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외한 가운데,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국내 중소기업 절반 가량은 이에 대해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와 관련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조사 결과 52.0%가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응해 별도의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별도의 준비를 하고 있는 업체도 48.0%였으나, 준비가 다소 부족한 업체가 38.4%였다. 이 중 ‘약간 준비돼 있다’ 20.7%, ‘부분적으로 준비돼 있다’ 17.7%였다.
반면 충분하게 준비돼 있는 업체는 9.6%에 불과했다. 이 중 ‘대부분 준비돼 있다’는 업체는 8.6%였고, ‘모두 준비돼 있다’ 1.0%에 불과했다.
또한 별도의 준비방안은 다소 소극적 대응방안인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이 31.3%,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 15.3%, 기타(국산화 진행 등) 6.9% 순이었다.
최근 일본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현재 부정적 영향을 느낀다는 응답은 25.7%였으며,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은 39.0%, ‘부정적 영향 없다’는 35.3%로 나타났다.
현재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은 67.3%로(영향없다 32.7%)였고, 영향을 받는 시기는 3개월 이내 36.3%, 4개월~1년 이내 26.7%, 1년 이후 4.3%였다.
일본과의 무역전쟁과 관련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로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가 44.7%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기업피해 최소화 및 공정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21.0%) 순으로 조사됐다.
중기중앙회는 이번 조사의 후속조치로 8월 중에 정부가 중점 육성코자 하는 100대 품목을 포함해 전 소재‧부품‧장비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하고, 발굴된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과 관련 대기업과의 매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기중앙회는 구매 조건부 기술개발제도 활성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건의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김기문 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돼 왔다”며 “앞으로 중앙회가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에 매칭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