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2016년 국내 모유 수유 실태조사’에서 생후 5개월 아기의 완전모유수유율(다른 음식을 먹이지 않고 모유만 먹이는 비율)은 18.3%, 생후 6개월에는 5.6%로 보고되고 있다.
모유의 영양소 조성은 아기에게 가장 이상적인 식사다. 아기의 성장에 맞춰 적절하게 그 성분이 변화될 뿐만 아니라, 영양분과 소화효소가 함께 들어 있기 때문에 소화·흡수가 잘 된다. 모유에는 면역글로불린 A와 몸속에서 병균의 번식을 막아주는 락토페린이 분유보다 훨씬 많고, 프로스타글란딘, 리소자임 및 세포 성분이 들어 있는 모유는 호흡기, 위장관 감염에 대한 적절한 방어를 제공한다.
또 모유에는 신생아 알레르기의 주원인인 베타락토글로불린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엄마 젖을 먹고 자란 아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확률이 낮다.
모유는 생후 6개월 동안 가장 좋은 단일 영양 공급원이며,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는 두 돌까지 모유 수유를 권장하고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성훈 교수는 “아기가 먹는 모유의 양이 많을수록 인지능력과 관계가 있는 뇌의 겉 부분인 피질의 면적이 더 넓어진다는 보고가 있다”면서 “또 심리적인 면에서 직접 모유 수유를 하게 되면 아기는 수유하는 동안 엄마와의 접촉을 통해 스킨십과 엄마의 심장 박동을 들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며 모유 수유를 길게 하는 것의 효과를 설명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모유 수유를 한 엄마에게도 산후 우울증 예방, 유방암‧난소암 등 여성암 발생 위험 감소 효과가 있으며, 엄마와 아기 사이에 강력한 유대감을 형성시켜준다.
하지만 여러 이유로 인해 신생아 및 영유아가 엄마로부터 신선하게 짜낸 모유를 먹을 수 없는 상황도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난임 부부 지원사업으로 다태아 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신생아 중 다태아의 비중도 증가 추세에 있다. 다태아는 조기 분만과 저체중으로 태어날 확률이 높다.
통계청에 따르면, 신생아 중 이른둥이 출생 비율이 2009년 4.8%에서 2016년에는 7.2%로 1.5배 증가했다. 이른둥이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경우가 많아 엄마와 아기가 떨어져 있게 되고 자연스럽게 엄마의 모유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모유가 부족하면 공인된 기증자로부터 저온살균 처리된 모유가 최상의 선택이라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미국, 일본, 독일, 덴마크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저출산 대책으로 이미 모유 은행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또 최근 출산율이 저하되면서 모유 기증량도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이른둥이나 아픈 아기들의 비율은 높아지고 있어 기증 모유는 계속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