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에… 식품업계 ‘노심초사’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에… 식품업계 ‘노심초사’

기사승인 2019-09-19 16:16:54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에서 발병하면서 식품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돼지고기 소비 자체를 꺼려하는 인식이 퍼져 업계 전반적인 타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19일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처음으로 ASF 발병이 발표된 지난 17일 오후 3시 기준 전국 14개 주요 축산물 도매시장 평균 경매가는 6062원으로 전일 4558원 대비 32.9% 폭등했다. 

특히 최초 ASF가 발병된 경기도 파주와 가까운 인근 수도권 도매시장 경매가는 6070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ASF는 오직 돼지와 야생돼지에게만 감염된다. 치사율이 100%에 이르지만 백신이나 치료법이 없다.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과 호흡, 조리되지 않은 오염된 돼지고기나 소시지 등 가공식품, 차량, 도구, 옷, 축사 등 모든 것에 의해 감염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ASF가 전국적으로 확산된 직후 돼지고기 유통 가격이 50% 이상 폭등했던 만큼, 국내 시세 역시 요동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도매 시장에서 돼지고기 경매 가격이 오르자 햄·만두 등 주력 제품에 돈육이 사용되는 CJ제일제당, 대상 등 육가공 식품업체들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되면서 선제적 대응을 통해 미리 구매한 돼지고기 비축물량이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가격이 오를 가능성은 충분하다. 

다만 이미 지난해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직후부터 각 기업별로 자체적인 대응을 마련한 만큼 가격인상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지난해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한 이후 국내에도 충분히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준비해왔다”면서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수입육 돈육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제품 품질에 변화가 있을 수 있어 100% 수입육으로 바꾸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가격인상 보다는 소비심리 위축이 가장 큰 문제”라면서 “아예 돼지고기를 소비하지 않는 인식이 퍼지는 것이 더욱 큰 타격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정부는 현재 전염병이 발생한 파주·연천 등 경기 북부 지역의 돼지 사육 마릿수가 전국의 10% 미만인 데다 공급량이 충분한 만큼 수급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지난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박병홍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돼지고기 공급이 많은 상황이라서 현재 돼지고기 가격을 일반적인 대표 가격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전국 6300개 돼지 사육 농가에서 1200만 마리 정도를 사육하고 있으며 파주와 연천 등 특별관리지역 14개 시·군에서는 약 100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다”면서 “현재 전국 돼지사육 두수는 평년보다 13%가량 많고 재고도 쌓여 있어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역시 ASF 발병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막연한 두려움’으로 인한 소비 위축이 농가와 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했다. 

또한 돼지고기를 사전 비축할 수 있는 제조업체와는 달리 일선 음식점 등은 이러한 우려에 무방비하게 노출된 상황이다.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에서 고기집을 운영하고 있는 장모(가명) 씨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뉴스는 봤지만 소규모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딱히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면서 “가격이 오르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라고 토로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이른바 ‘쓰레기 만두 파동’ 사례도 있었고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소시지와 햄 등 붉은 고기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소비 전체가 급감한 적이 있다”면서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가격인상보다는 이같은 불안감으로 인한 소비 위축이 더욱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조현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