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람하는 1인 방송 콘텐츠, 규제 필요하다

범람하는 1인 방송 콘텐츠, 규제 필요하다

기사승인 2019-09-28 06:00:00

유튜버, BJ 등 '1인 방송' 시대가 도래한 지 오래다. 개개인의 다양한 목소리는 점점 높아져 간다. 방송 진행 진입 장벽이 낮은 만큼 주제도 다양하고 수용자의 입장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난 5월 유튜브 CEO 수잔 보이치키에 의하면 공식적인 유튜브 이용자는 18억 명이며 1분당 400시간의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1인 방송을 통해 목소리를 내는 만큼 다양한 콘텐츠들이 생산되는데, 문제는 해로운 콘텐츠와 이로운 콘텐츠들이 수없이 범람하고 뒤섞인다는 것이다. 이에 해로운 콘텐츠를 생산하는 주체들에 대한 뚜렷한 규제가 필요하다.  

여성 BJ들이 진행하는 방송을 소위 '여캠'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여캠'이라는 단어가 단순히 여성이 진행하는 방송이라는 뜻이 아닌 선정성을 띤 여성 콘텐츠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와 함께 '벗방'도 논란이 되고있다. 이는 '벗는 방송'의 줄임말로, 유료아이템인 '별풍선'을 받으면 옷을 벗는 행위를 뜻한다. 이들은 옷을 벗고 자신의 은밀한 신체 일부를 노출하기도 한다. 이에 지난 7월 5일 방송통신심의위위원회 통신심의소위원회는 인터넷 음란방송을 진행한 BJ 18명에 대해 1개월 이용 정지를 결정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징계를 받은 BJ 18명은 벗방을 진행하면서 음모나 성기의 윤곽을 적나라하게 노출했다. 

이목을 끌기 위해 생산되는 폭력성을 띤 콘텐츠 또한 해로운 콘텐츠로 꼽힌다. 지난 8월 13일 한 BJ는 생방송 도중 "극단적인 선택을 하겠다"며 한강대교 한가운데서 뛰어내렸다. 여자친구와 헤어졌다는 게 그 이유였다. 아프리카TV 측은 긴급히 해당 방송을 종료시키고 경찰에 신고했다. 그는 구조돼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방송 영구 정지' 조치를 받게 됐다. 지난 2018년 11월 23일에는 한 유튜버가 지구대에서 경찰관의 멱살을 잡아 흔드는 등 난동을 부려 공무집행방해, 특수상해 미수 등의 혐의로 구속됐다. 그는 지구대에서 난동을 부리거나 지인 부부에게 주먹을 휘두르는 등의 장면을 실시간 방송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성폭행 장면을 생방송으로 송출하거나 음주운전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등의 사례도 있다. 또 아동학대나 동물 학대를 아무렇지 않게 방송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이러한 콘텐츠들이 양산되면 정상적인 콘텐츠들이 흐름에서 밀려날 수 있다. 또 한 번 자극을 받으면 그다음에는 더 큰 자극을 바라게 된다는 점에서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고 평했다. 

이러한 콘텐츠들이 시청자들에게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특히나 가치관이 명확히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해로운 콘텐츠를 걸러내는 데에 있어 미흡하다. 이에 콘텐츠들을 무방비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상식적이지 않은 콘텐츠들을 10대들이 접했을 때, 그들이 단순히 '재밌다'라는 생각만 가지고 현실에서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청소년을 포함한 모든 시청자들을 위해 기본적인 규제의 울타리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유해성을 띠는 콘텐츠를 규제를 하기위한 구체적인 심의는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을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정보문화보호팀 관계자는 "인터넷 개인방송에 대한 심의는 민원이 들어오거나 타기관에서 요청하는 경우, 또 위원회 자체 모니터링을 통한 중점 심의 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인터넷 개인방송이 대폭 증가하고 정보의 유형이 다각화, 세분화 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실시간으로 전수 모니터링 및 심의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라고 전했다. 

이정엽 순천향대 한국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심의위원회에 의한 사후 모니터링은 심각하게 문제가 된 수십 건 정도의 사용자 계정 정지 정도에 그치고 있다"며 "이러한 사안에 대해 입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앞서 더불어 민주당 김성수 의원의 통합방송법 개정안에서 넷플릭스 등의 OTT 규제를 넘어 유튜브나 아프리카 TV 같은 방송을 규제하자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법안 소위를 통과하지 못했다"며 "통합방송법 개정안은 여러 사업자 간의 의견 차이와 조율, 그리고 국회의원들의 지지부진한 입법 과정 때문에 진척이 빠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또 그는 "유투브, 아프리카 TV, 트위치, Dia TV 등 플랫폼들 사이에서 국내 방송환경에 맞는 자율정책기구를 출범하여 자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준수하는 안을 생각 해 볼 수 있다"고 해결책을 제안했다.  

엄지영 인턴 기자 circle@kukinews.com

엄지영 기자
circle@kukinews.com
엄지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