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안세진 기자 = 지하철 6·7호선 내 상가들이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계약조건을 수정해 재입찰을 했지만 또 다시 유찰됐기 때문이다.
24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날까지 입찰마감이었던 지하철 6·7호선 내 상가임대 입찰자가 또 다시 ‘0개사’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 14일에 이은 두 번째 유찰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오늘까지 입찰 마감이었는데 또 한 번 유찰이 됐다”고 밝혔다.
공사는 당초 이번 입찰 계약서상에 임대사업업체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사업구역 쪼개기 ▲새로운 사업지 추가 등의 내용을 담았지만, 사업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전 사업자였던 GS리테일 관계자는 “지나치게 높은 임대료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사업성이 좋지 않아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교통공사 측도 이같은 문제를 의식하고 있지만 임대료를 낮추기 어려운 입장이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코로나 등의 여파로 공사 측의 재정적 부담도 가중 되고 있는 상태라 하루빨리 사업자를 찾아야 한다”면서도 “임대료 낮추기엔 어려움이 있다. 가격을 새로 정하려면 감정평가를 새로 맡겨야 하고, 맡긴다 해도 지금의 임대료 수준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공기업은 법적으로 감정평가법인을 통해 임대료 수준을 책정한 뒤, 이에 근거해 임대료를 산정해야 한다. 통상 지하철 상가 감정평가는 사업지의 위치나 크기 등에 따라 다르지만 7~15일 정도가 소요된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공사 측에서 임의로 임대료를 낮출 수 없다”며 “가장 큰 문제는 감정평가 측의 평가 방식이다. 과거 임대료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시장상황에 맞춰 계산하다보니 차이가 심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공사 측은 이번 주 중 사업을 재구성할 방침이다.
공사 관계자는 “현재 대안을 만들고 있다. 결국 가격정책으로 가야 할 것 같은데 쉽진 않을 것 같다”며 “사업 운영의 탄력성을 사업자들에게 어떻게 담보할 수 있게 만들지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하철 6·7호선 역사 내 406개 점포는 지난해 11월 GS리테일의 계약만료로 인해 폐점됐다. 당초 공사 측은 계약기간을 기본 5년으로 하되, 임대료 등 연장조건에 합의한 경우 5년 범위 내에서 계약 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공개 입찰에서 GS리테일이 사업자로 참여했다. GS리테일은 상가 406곳을 조성하고 영세사업자를 모집해 재임대했다. 그러나 5년 뒤인 2019년 GS리테일은 공사 측과의 재계약을 포기하고 상인들에게 퇴거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공사 측에 내야 하는 비싼 임대료로 인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였다.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