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8일 (수)
코로나19로 업종별 희비 갈려...여행·항공·면세 '울상'

코로나19로 업종별 희비 갈려...여행·항공·면세 '울상'

사업장별 직원 조치사항은 '무급휴가' 가장 많아

기사승인 2020-04-03 10:34:10 업데이트 2020-04-03 10:56:54

[쿠키뉴스] 구현화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임금이 삭감된 직장인들이 밝힌 평균 급여 삭감률은 22%로 확인됐다. 반면 온라인유통ㆍ통신판매 재직자는 매출이 올랐다고 밝혀 업종별 희비가 전해졌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직장인 449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사업장별 조치사항’을 주제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먼저 코로나 이후 출근 또는 급여가 달라졌는지 묻자, 전체 응답자 중 40.8%는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이 꼽은 조치들로는(복수선택) ‘무급휴가’(36.1%)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임시휴업’(24.5%), ‘임금삭감’(13.0%), ‘권고사직’(6.5%) 그리고 ‘급여반납’(3.2%) 순으로 집계됐다.

임금삭감을 꼽은 직장인들이 밝힌 평균 급여 삭감률은 22%였고, 무급휴가의 경우 ‘2주 이상~4주 미만’(38.5%) 및 ‘1주 내외’(30.8%)가 가장 많았다.

이렇듯 코로나 이후로 급여와 출근일수가 줄어든 것과 대조적으로, 나머지 18.7%의 응답자는 코로나 이후 ‘야근 증가’, ‘휴일근로 증가’(각 6.9%) 그리고 ‘상여금 및 추가수당 지급’(각 1.4%) 등의 달라진 점이 있었다고 밝혔다.

업무량 및 사업실적에 희비가 갈린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업종별 교차분석 한 결과 차이가 발견됐다. ‘코로나19 이후 사업실적 변화’를 물었더니 ‘매출 감소세’(40.6%) 및  △‘매출 급감’(26.9%)이라고 꼽은 비율은 도합 67.5%에 달했고 ‘변화 없음’(26.9%) 그리고 '매출 호조세’(4.1%) 및 '매출 급증(호황, 1.4%) 순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여행, 항공 그리고 면세 업종 재직자의 경우 100.0%, 즉 일제히 ‘매출 급감’을 선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금융,보험(86.4%) 운수(85.7%) 숙박(80.0%) 공연 및 문화예술(72.7%) 역시 평균을 웃도는 높은 비율로 매출 급감 사실을 전했다. 특히 여행 및 항공업 재직자는 매출 감소 비율뿐만 아니라 앞서 급여가 달라진 비율도 100.0%로 가장 높았다. 

반대로 나홀로 호황을 맞은 업종도 있었는데 바로 '온라인유통, 통신판매'였다. 해당 업종 재직자는 각각 ‘매출 급증’(8.4%)과 ‘매출 호조세’(41.7%)를 선택하며 대조를 보였다.

kuh@kukinews.com

구현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물 건너간 단일화…이준석 “한번도 생각해본 적 없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28일 “단일화는 애초 염두에 둔 바 없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이 후보는 이날 여의도공원 유세 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단일화가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하면서 “대통령이 된다면 책임 있는 정치를 하겠다”고 말했다.이 후보는 이날 SBS 라디오·TV조선 유튜브에서도 ‘단일화는 물 건너간 것인가’라는 질문에 “한번도 생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