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작년 의료기기 8269개 허가…AI기반·위해도 높은 4등급 기기 제조 ↑

작년 의료기기 8269개 허가…AI기반·위해도 높은 4등급 기기 제조 ↑

기사승인 2020-04-29 09:58:05 업데이트 2020-04-29 09:58:37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지난해 허가된 의료기기는 8269개로 확인됐다. 전체적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의료기기가 증가하고 위해도 높은 4등급 의료기기 국내제조 비중이 확대됐다. 또 노인을 위한 실버 의료기기 개발 증가하는 등의 경향이 나타났다.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허가(인증·신고 포함) 의료기기는 2018년 7745건 대비 6.8% 증가한 8269개로 집계됐다.

‘인공지능(AI) 기반 의료기기’는 지난해 총 10건을 허가해 2017년 0건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작년 허가 제품은 모두 국내 개발 제품으로 내시경, X-ray 등 의료영상을 분석해 진단 또는 검출보조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이다.

바이오, IT 기술 등을 접목한 첨단의료기기 허가는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19.3%씩 꾸준히 증가했다.

또 전체적으로 의료기기의 수입 비중은 높지만, 4등급에선 국내 제조 비율이 증가했다.

수입 의료기기 허가현황을 보면, 2018년 4145건(53.5%)에서 2019년 4664건(56.4%)으로 늘어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료기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혈압계, 콘택트렌즈 등 인체 위해성이 낮은 1·2등급의 높은 수입의존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인체 위해성이 높고 고부가가치인 4등급 의료기기는 국내 제조 비율이 점차 증가해 향후 국내 의료기기산업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등급 제조비율은 2017년 74.0%(293건에서 2018년 76.7%(198건), 2019년 77.6%(267건)으로 늘었다.

아울러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어르신들의 건강한 일상 활동을 보조하는 안경, 보청기, 임플란트 등 실버 의료기기가 모든 등급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1등급인 안경렌즈는 2018년 218건에서 2019년 736건으로 237.6% 늘었고, 2등급인 기도형보청기는 같은 기간 97건에서 155건으로 59.7% 증가, 3등급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는 19건에서 24건으로 20.8% 증가, 4등급 골이식용복합재료는 3건에서 23건으로 666.7% 증가했다.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제품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해 놓은 ‘조합의료기기’와 ‘한벌구성 의료기기’ 개발도 활발해졌다.

조합의료기기는 357건(제조 74.2%, 수입 25.8%)에서 380건(제조 72.4%, 수입 27.6%)로 늘었고, 한 벌구성 의료기기는 317건(제조 74.8%, 수입 25.2%)에서 433건(제조 69.5%, 수입 30.5%)으로 늘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내 의료기기 허가·인증·신고 현황과 분석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겠다”고 전했다.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김혜성, 빅리그 첫 선발 경기 수훈…“홈런은 오타니가 쳤는데 날 축하해줘”

김혜성(LA 다저스)이 미국 메이저리그(MLB) 데뷔 후 처음 선발로 출전한 경기에서 첫 안타, 첫 타점, 첫 득점을 기록하며 수훈 선수로 뽑혔다.김혜성은 6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론디포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프로야구 MLB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 9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 1도루로 활약했다.팀의 승리에 기여한 김혜성은 경기 후 방송사 수훈 선수 인터뷰에 나섰다. 그는 “다저스는 강한 팀”이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