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4일 (일)
[기자수첩] 우리銀 전산사고 제재, 왜 하필 지금?

[기자수첩] 우리銀 전산사고 제재, 왜 하필 지금?

기사승인 2020-07-10 05:32:01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우리은행이 2년 전 ‘차세대 시스템’으로 소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명절을 앞두고 대금과 급여송금이 막혀 이용자 불편이 컸던 기억이 난다. 전산 오류는 이후에도 몇 차례 더 있었다. 우리은행은 그해 2분기 연속 ‘민원 최다 은행’이 됐다. 

참다못한 금융감독원이 경영실태를 파악하기에 이르렀고 최근 결론을 내렸다. 금감원은 우리은행에 기관경고와 과태료 8000만 원 제재를 가했다. 

이 대목에서 던질만한 질문은 두 가지다. 하나는 ‘왜 이제야’다. 검사부터 제재심의위원회가 열리기까지 2년이 걸렸다. 그간 금감원에 실태점검 결과를 문의해왔는데 돌아온 답변은 ‘진행 중’이었다. 

그런 금감원은 본지에 ‘법률 검토 등 내부처리 단계가 있어서 늦었다’고 답했다. 사안 경중에 따라 처리 기간이 다른데 우리은행 전산오류 건은 워낙 사고가 잦다보니 들여다볼 게 많았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다만 제재는 ‘비공식’이며 검사가 종결되면 상세히 내용을 공개하기로 했다. 그 안에는 전산오류 주요원인도 포함된다. 공개일은 정해지지 않았다. 

다른 질문 하나는 ‘왜 지금이냐’는 것이다. 이를 두고도 해석이 분분한데 그 중 하나가 당국이 라임펀드 전액 반환을 은근히 압박하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감원은 지난 7일 라임 펀드 투자원금 전액을 투자자들에게 반환하라는 분쟁조정위원회 결정문을 판매사들에게 통지했다. 펀드판매사인 우리은행은 오는 27일 수락여부를 답해야 한다. 우리은행은 그 전에 이사회를 열고 가부를 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DLF에 이어 라임으로 이미지가 깎인 우리은행으로서는 설령 ‘뒷북’ 제재라 할지라도 현 시점에서는 득이 될 게 하나도 없다. 금감원은 이에 관해 말을 아꼈다. 당사자인 우리은행도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제재에 눈 돌릴 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어서일 것이다. 

실제로 해결할 과제가 많다. 우리은행이 판매한 홍콩계 사모펀드 ‘젠투’도 환매중단 위기다. 일각에서는 젠투가 라임이나 옵티머스 보다 심각하다는 얘기도 돈다. 우리은행은 ‘아직은 큰 문제가 보이지 않아’ 안심하는 분위기다. 민영화가 시급한데 주가 하락 우려에도 도리어 당당하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깜짝 콜업’ 김혜성, 28번째 빅리거로…애틀란타전 대수비 출전

한국을 떠나 미국 도전에 나선 김혜성(LA 다저스)이 빅리그에 입성하며 꿈을 이뤘다.김혜성은 4일(한국시간) 오전 8시15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 트루이스트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메이저리그(MLB)’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와 원정경기에서 9회말 대수비로 출전하며 메이저리그에 첫발을 내디뎠다.LA 다저스는 이날 경기에 앞서 발목 부상을 당한 토미 에드먼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김혜성을 콜업했다. 김혜성은 내·외야를 모두 소화할 수 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