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한국 조선업, 세계 선박 수주 두 달 연속 1위...코로나에 ‘선방’

한국 조선업, 세계 선박 수주 두 달 연속 1위...코로나에 ‘선방’

올해 글로벌 수주, 지난해 같은 기간 절반도 못 미쳐...9월 이후 LNGC 중심 물량 확보 기대

기사승인 2020-09-08 13:37:55 업데이트 2020-09-08 14:48:48
▲▲삼성중공업의 최신 친환경 셔틀탱커(사진=삼성중공업 제공)
임중권 기자
im9181@kukinews.com
[쿠키뉴스] 임중권 기자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 전 세계에서 발주된 선박 가운데 70% 이상을 수주하며 2개월 연속 수주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다만 누적 수주 잔량에서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극심한 수주절벽 여파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8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전 세계에서 발주된 선박은 86만CGT(36척)로 집계됐다.

이 중 한국 63만CGT(23척)를 수주해 7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중국 21만CGT(12척) 24%, 베트남 2만CGT(1척) 3% 순으로 기록됐다.

이로써 한국 조선업은 올해 7월 올해 처음으로 월간 수주량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까지 두 달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상반기에 극심한 수주절벽을 겪었으나 6월 이후 주력 선종인 LNG선, VLEC 등 가스선 발주가 재개되면서 수주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9월 이후부터는 모잠비크, 러시아 등 대형 LNG 프로젝트 발주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다만 올해 1월부터 8월까지의 글로벌 누계 발주는 812만CGT에 불과해 전년 동기(1747만CGT)에 비해 절반에도 못미쳤다.

같은 기간 국가별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 437만CGT(201척)로 54%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한국이 239만CGT(75척) 29%, 일본이 68만CGT(43척) 8%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달 말 기준 글로벌 수주잔량 역시 6919만CGT에 그쳐 2004년 1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547만CGT(37%), 한국 1915만CGT(28%), 일본 934만CGT(14%)다. 전년 동기에 비교해 일본이 가장 크게 수주잔량이 급감했다.

한편 지난달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보다 1포인트 상승한 127포인트다. 선종별로는 LNG선과 컨테이너선, 벌크선은 지난달과 동일한 수준의 가격을 유지했다. 초대형 유조선(VLCC)와 S-max 유조선, A-max 유조선은 각각 50만 달러씩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im9181@kukinews.com
임중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인제 설악그란폰도 대성황…전국 5000여 마니아 '은빛 질주'

전국 자전거 동호인들의 대축제인 2025 설악그란폰도 대회가 17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이날 강원 인제군 상남면을 중심으로 홍천군과 양양군 일대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는 전국에서 5000여 마니아들이 몰려 명성을 실감하게 했다.전국 최고의 자전거 대회로 알려진 설악 그란폰도는 치열한 접수령을 넘은 5003명의 동호인이 그란폰도(208km), 메디오폰도(105km)에 참여해 힘찬 라운딩을 펼쳤다참가자들은 상남면 시가지에서 출발해 원당삼거리~구룡령~서림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