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종전선언’ 꺼내든 문 대통령 “국제사회가 힘 모아달라”

‘종전선언’ 꺼내든 문 대통령 “국제사회가 힘 모아달라”

기사승인 2020-09-23 11:42:42
▲문재인 대통령. 사진=쿠키뉴스 DB
정유진 기자
ujiniej@kukinews.com

[쿠키뉴스] 정유진 인턴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23일(미국 현지시간 22일)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열린 제75차 유엔총회에서 국제사회를 향해 “종전선언을 통해 화해와 번영의 시대로 전진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한반도 평화는 동북아 평화를 보장하고 세계 질서 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 시작은 한반도 종전선언”이라며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에서 비핵화와 함께 항구적 평화체제의 길을 여는 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년 2월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노딜’로 막을 내린 이후 북미 정상회담은 진척을 보이지 않았다. 지난 6월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일방적으로 폭파하면서 남북관계도 얼어붙은 상황이다.

이 가운데 문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종전 선언에 대한 지지를 호소한 것은 북한과의 정체 국면을 돌파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된다.

또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고, 오는 11월 미국의 대선으로 국제정세가 불확실해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더는 늦출 수 없다’라는 절박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북한을 포함해 중국, 일본, 몽골, 한국이 함께 참여하는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남과 북은 생명공동체”라며 “여러 나라가 함께 생명을 지키고 안전을 보장하는 협력체는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다자적 협력으로 안보를 보장받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방역·보건 분야의 국제적 협력이 중요해진 만큼, 협력체를 고리로 북한과 대화·협력의 불씨를 살리려는 것으로 읽힌다.

나아가 문 대통령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유엔의 새로운 역할로 ‘포용성이 강화된 국제협력’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 코로나 백신·치료제의 공평한 접근권 ▲ 연대·협력의 다자주의 및 규범에 입각한 자유무역질서 강화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노력 등에서 한국이 적극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ujiniej@kukinews.com
정유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서울 사람한테만 빌려줬다” 저축은행 여신 집중 ‘심각’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서울에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과 전문가들은 지역금융 공급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를 위해 규제 완화와 인수합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40조4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동월 대비 약 2조원 증가했다. 서울에서만 2조50억원 늘었다. 다음으로 대출이 많이 증가한 부산(2521억원), 충북(2107억원)은 증가 폭이 서울의 1/10 수준에 그쳤다. 경기(-280억원)와 인천(-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