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연령별 사망률 극명한 차이…고령자 감염 특히 주의

코로나19 연령별 사망률 극명한 차이…고령자 감염 특히 주의

NMC, 코로나19 수도권 현장대응 실적 및 평가자료 공개

기사승인 2020-09-29 05:20:01

[쿠키뉴스] 조민규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망률이 연령에 따라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감염이 고령자에서 특별히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립중앙의료원(NMC)이 28일 공개한 코로나19 수도권 현장대응 실적 및 평가자료에 따르면 8월15일 광화문 집회 및 종교집단 집단감염에 따른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9월 23일까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총 7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발생 추이를 확진일 기준으로 보면 8월15일 이후 집단감염의 여파로 인한 확진자 급증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수도권 8월16일 이후) 등 방역조치 강화에 따른 효과가 확인됐다. 

또 수도권 확진자 중 고령자 비중이 높음에 따라 70대 이후 연령에서 사망자가 집중됐다는 점, 특히 80대 이상의 치명률은 1차 대유행의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령 신규 확진자 폭증은 5~7일 내 중환자 수 급증으로 이어지고 연이어 중환자 병상 부족과 전원 조정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면서 적정한 중환자 치료가 이뤄지지 못해 예방 가능한 사망을 놓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9월 3일에서 5일까지 잔여 중환자 병상이 3~4개에 불과한 상황이 지속되는 등 중환자 관리역량에 위기가 발생했다는 지적이다. 

한편 8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코로나19공동대응상황실 국립중앙의료원(NMC)의 ‘중앙감염병병원’의 역할에 따라 서울·경기·인천 환자분류반 및 중수본 환자병상관리반,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전원지원상황실이 함께 근무하며 환자배정, 전원 조정 등을 수행했다. 

본격 가동된 8월21일 이후 한 달이 지난 현재 지자체간 입원대상 선별표 일원화, 자원 공동활용 등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시스템 고도화 정착에는 미흡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우선 선별표상 입원요인이 없는 15~59세 환자가 여전히 입원병상을 차지하는 등 여전히 중증도 선별에 따른 병상배정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아 예기치 않은 집단감염과 확진자 폭증에 따른 대응 역량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로 분석됐다. 

또 9월 중순 이후 확진자 증가세 감소로 입원병상에 여유가 보이자 다시 지자체별 입원률이 50% 이상에 이르고 이들 재원일수가 최소 10일 이상이 되면 또다른 입원병상, 중환자병상 부족이 연쇄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이는 공동대응상황실이 중점을 두고 있는 중환자 급증에 대비한 병상자원 관리에 지속적으로 부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

향후 코로나19 공동대응 상황실은 지자체간 조정 역량을 강화해 경증환자의 입원율 조정과 선별표 등 프로토콜 지속 개선, 전국 환자 대량 발생 시 권역별 공동대응 방식의 전국 확대 적용 여부 등 검토해 추석 연휴와 동절기 환자 급증 대비 대응 시스템 고도화에 전력을 다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NMC는 지난 8월 중순 이후 지난 40여일의 수도권 재확산기 평가 결과 우려했던 바처럼 60대 이상 고령환자의 감염은 중증환자 폭증, 병상 부족 그리고 사망에 이르는 연쇄효과가 나타날 수밖에 없어, 추석 연휴는 물론이고 겨울을 맞아 특히 고연령대의 각별한 건강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동안 생활치료센터로 배정된 환자 중 증세 악화로 입원된 환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50대 이하는 80~95%가 생활치료센터에서 특별한 치료 없이도 완쾌돼 귀가조치 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하 생활치료센터 배정 총 2431명 중 병원으로 전원된 326명(13.4%)외 2105명은 생활치료센터에서 완치됐다.  

또 중증화와 사망으로 이를 수 있는 고령자의 감염에 각별한 주의와 함께 무증상, 경증 저연령층 환자의 지나친 불안과 입원 요구, 이로 인한 병상자원의 비효율적 운용을 막아야 의료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0월13일 감염병예방및관리법 개정안 시행 이후에는 확진자의 단기 폭증의 규모에 따라 생활치료센터가 아니라 자가격리 및 치료도 가능케 됨을 인지하시고, 지나친 불안 없이 고위험군에 의료자원이 효과적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국민여러분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