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일 (목)
안산시 '스카이바이크' 사업 난항 끝에 좌초되나

안산시 '스카이바이크' 사업 난항 끝에 좌초되나

기사승인 2020-10-05 10:14:03

윤화섭 시장 법률검토 없이 공약 난발했단 비난받을 수도

공유재산법에 민간투자법을 입맛대로 준용한 위법한 추진 의혹 

행안부 '위법' 유권해석 나오면 보류나 계류 후 좌초될 수도

▲안산시 대부도 구봉공원 '스카이바이크' 예정지(네이버 지도 캡쳐)
박진영 기자
bigman@kukinews.com

[안산=쿠키뉴스 박진영 기자] 경기도 안산시가 대부도 구봉공원 일대에 조성하겠다는 '스카이바이크' 사업계획이 난항을 겪고 있다. 스카이바이크 건설계획은 윤화섭 시장의 공약사항(대부도 방조제 레일바이크)이기도 하다. 윤 시장은 스카이바이크를 일반적인 레일바이크와 같이 땅 위 레인을 달리는 것이 아니라 바다 위에 설치한 레일을 달리도록 한다는 생각이다. 

이 사업은 원래 윤 시장의 공약에 따라 100% 민간투자 방식으로 시화호방조제 중간 지점에 있는 시화나래휴게소에서 방아머리 선착장 인근까지 편도 3.5㎞, 왕복 7.0㎞ 구간에 레일바이크 노선을 설치하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시화방조제 관리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가 국가시설 내에 관광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구봉공원으로 사업지가 변경됐다. 스카이바이크는 현재 공영주차장이 조성된 대부북동 산 35-1 일원에서 출발한 뒤 구봉공원 해안 옆 바다 위로 달려 낙조전망대를 한 바퀴 돌아 다시 출발지점으로 돌아오는 3.7㎞ 노선으로 설치될 예정이다.

안산시는 이 사업을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공유재산법)의 기부채납 방식으로 추진해 민간사업자를 공모·선정한 후 2022년 4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6월 제263회 안산시의회 정례회에 '2020년 제3차 수시분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상정했다. 

그러나 안산시의회는 사업의 타당성 확보와 사업추진 방식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 후 주민의견 청취, 관련부서 협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부결시켰다. 이에 시는 지난달 대부문화센터에서 대부도 내 관광업계, 어촌계, 대부도 주민 등 100여 명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열어 주민의견을 청취하고 관련부서 협의 등을 거쳐 지난달 18일 제265회 안산시의회 임시회에 또 다시 '관리계획안'을 제출해 조건부의결을 받았다.

조건부의결의 주요 사항은 이 사업방식의 법률적 검토다. 즉 공유재산법의 기부채납 방식으로 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안산시는 최근 경기도를 통해 '민간투자 방식으로 공유재산법에 따른 기부채납을 할 수 있는지'를 행정안전부에 질의했다. 그 결과는 빠르면 다음주 중 나올 수 있다.

기부채납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무상으로 사유재산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건이 붙으면 안된다. 스카이바이크 사업은 민간사업자가 스카이바이크를 조성하면 시가 기부채납 후 그 대가로 민간사업자에게 운영권을 주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행안부가 이 운영권을 조건에 해당한다고 유권해석을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행안부는 "민간투자방식으로 공유재산법에 따른 기부채납을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오산시는 시청사 옥상을 활용해 '생태체험관(버드파크)'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증축하고 있다. 이 버드파크 역시 법적 시행근거를 공유재산법의 기부채납에 두고 있으며, 오산시는 이 버드파크의 운영권을 민간사업자에게 준다는 계획이다. 그런데 최근 행안부 및 경기도는 이 사업방식이 위법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하지만 오산시는 이에 따르지 않고 공사를 강행하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또 오산버드파크의 모태인 경주시의 버드파크의 경우, 공유재산법에 근거해 사업을 진행했다고 주장하다 취재가 들어가자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민간투자법)'을 준용했다고 실토했다. 공유재산법에는 민간투자법을 준용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 즉 위법행정임을 인정한 것이다.

안산시의 스카이바이크 사업은 법적 시행근거가 공유재산법이라 하지만 민간투자법을 교묘히 준용했다고 볼 수 있다. 민간사업자에게 운영권을 주기 위해서는 민간투자법의 BTO, BTL 등의 방식을 활용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방식은 사회기반시설에 대해서만 할 수 있으며, 사회기반시설이 아닌 스카이바이크 사업은 민간투자법을 통해 시가 기부채납할 수 없다.

윤화섭 시장이 이 사업을 공약한 지 약 2년6개월이 됐다. 법률적 검토 없이 공약을 낸 것도 비난받을 일이지만, 시장 당선후 지금까지 가장 기본적인 법률적 검토 없이 사업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시의회에 상정시킨 행위는 안산시의 주먹구구식 행정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안산의 한 시민은 "시장공약이라고 해서 안 되는 방법에 매달릴 필요는 없다. 빨리 다른 방법을 찾든가 포기하는 것이 행정낭비를 막는 길"이라고 말했다.

김태희 의원은 "시장 공약사항이라고 제대로 준비과정 없이 추진한 행정적 미비가 보였다"며 "지난달 임시회 때 집행부가 기부채납 방식에 대한 의지가 강해 보였지만, 이런 방식으로 사업이 가능한지 법률 검토를 먼저 하라고 주문했다"고 말했다.

또 이기환 의원은 "행안부의 질의에 '위법'이라는 답변이 오면 이 사업은 보류나 계류가 될 것"이라면서 "절차상 문제가 있다면 고쳐야 하겠지만 안산의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치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bigman@kukinews.com
박진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올림픽 금메달 꿈꾸는 김길리 “세계에 인정받고 싶어요”

“쇼트트랙을 통해 많이 성장했어요. 올림픽 금메달을 따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쇼트트랙 선수가 되고 싶습니다.”차세대 쇼트트랙 에이스로 떠오른 김길리(21)는 지난 4월29일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포부를 밝혔다. 그의 마음속엔 오직 올림픽 금메달이라는 목표가 뚜렷하다.김길리는 최근 열린 ‘2025~2026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총점 128점,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며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2관왕, 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