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일 (목)
성인남녀 10명 중 6명 “한글 표기 어렵다” 느껴

성인남녀 10명 중 6명 “한글 표기 어렵다” 느껴

기사승인 2020-10-09 00:10:02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우리나 성인남녀 10명 중 6명은 한글 표기가 어렵다고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은 최근 성인남녀 2244명을 대상으로 ‘맞춤법 등 한글 표기에 어려움을 느끼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59.8%가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한글 표기법은 ‘띄어쓰기’(64.6%, 복수응답)가 1위였고, 근소한 차이로 ‘맞춤법(62.6%)’이 뒤를 이었다. 또한 ‘구어체와 문어체 구분’(19.5%), ‘경어(높임말) 표현’(18.9%), ‘피동 및 사동 표현’(13.5%), ‘무의식적인 신조어 사용’(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글 표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문법을 안 지키는 메신저 대화 등에 익숙해져서’가 46.4%(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글을 자주 쓰지 않아서’(41.4%), ‘독서가 부족해서’(30.9%), ‘SNS, 커뮤니티 등으로 신조어에 많이 노출돼서’(25%), ‘배운지 오래되어 잊어버려서’(23.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글 표기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이들은 이유로 ‘평소 맞춤법에 관심이 많아서’(60%, 복수응답), ‘글을 자주 써서’(30.8%), ‘독서량이 많아서’(21.9%), ‘한국어 능력 시험 등을 준비해서’(3.7%) 등을 꼽았다.

특히 구직 활동이나 업무 중 한글 표기 실수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1196명의 구직자들의 경우, 36.8%가 한글 표기가 틀린 자소서를 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사람인의 다른 조사에서 기업 225개사 중 87.1%가 자기소개서 맞춤법 실수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변한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 구직자들이 한글 표기 실수로 불이익을 받게 된 셈이다.

직장인 응답자 1048명의 경우 68.2%가 업무 상 한글 표기 실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업무 상 한글 표기 실수를 한 상황은 ‘메신저 대화’(42.2%,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이메일’(37.8%), ‘휴대폰 문자’(33.7%), ‘기획안, 보고서’(28.7%), ‘프레젠테이션 문서’(10.9%) 등의 순이었다.

다른 사람의 한글 표기 실수에 대해한 생각을 물은 결과, 직장인 응답자의 절반(47.5%) 가량이 주변 직원이 한글 표기 실수를 할 경우 ‘부정적인 인식이 생긴다’고 답했다.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되는 이유로는 ‘기본이 안되어 있는 것 같아서’(54.8%,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것 같아서’(41.4%), ‘국어 능력이 부족한 것 같아서’(28.9%), ‘꼼꼼하지 못한 것 같아서’(28.9%),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실수라서’(19.3%)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올림픽 금메달 꿈꾸는 김길리 “세계에 인정받고 싶어요”

“쇼트트랙을 통해 많이 성장했어요. 올림픽 금메달을 따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쇼트트랙 선수가 되고 싶습니다.”차세대 쇼트트랙 에이스로 떠오른 김길리(21)는 지난 4월29일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포부를 밝혔다. 그의 마음속엔 오직 올림픽 금메달이라는 목표가 뚜렷하다.김길리는 최근 열린 ‘2025~2026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총점 128점,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며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2관왕, 베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