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故 김용균 2주기…정의당·유가족 ‘중대재해법’ 촉구 단식농성 돌입

故 김용균 2주기…정의당·유가족 ‘중대재해법’ 촉구 단식농성 돌입

기사승인 2020-12-11 17:09:08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는 정의당 의원들. 사진=조진수 기자
김희란 기자
heerank@kukinews.com
[쿠키뉴스] 김희란 인턴기자 =강은미 정의당 원내대표와 산업재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이 중대재해기업처벌법(중대재해법) 제정을 촉구하는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정의당과 중대재해법 제정 운동본부는 11일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을 향해 연내 중대재해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날 강 원내대표와 더불어 지난 2018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숨진 하청업체 노동자 고(故) 김용균씨의 어머니 김미숙씨, CJ E&M에서 사망한 이한빛 PD의 아버지 이용관씨 등 유가족들도 단식에 들어갔다.

김씨는 “어제가 용균이 얼굴을 못 본 지 2년째 되는 날이었다”면서 “용균이로 인해 만들어진 산업안전보건법으로 계속되는 죽음을 막지 못하고 있다. 법이 제대로 만들어질 때까지 피눈물 흘리는 심정으로 단식을 할 것”이라고 간절히 호소했다. 이씨 역시 “가족을 잃은 순간부터 저희는 모든 삶이 멈추어 버렸다”면서 “법이 제정되지 않는 한 살아서 제 발로 나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철 정의당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김용균의 엄마, 이한빛의 아버지가 싸우는 이유는 자녀들처럼 희생되는 사람이 없게 법을 만들어 달라는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왜 아직도 희생자들의 부모님들이 찬 바닥에서 곡기를 끊으면서까지 싸워야 하는지 답하기 바란다. 두 당은 왜 아직도 ‘위험의 외주화’를 방치하는지, ‘죽음의 행렬’을 끝내려 하지 않는지 이 곳에 와서 답해야 한다”고 질책했다.

이어 “민주당은 말이 아닌 행동을 보여야 한다. 일하다 죽지 않도록 구체적인 계획을 밝혀라”면서 “정의당은 유가족과 같은 절박한 마음으로 중대재해법을 올해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강 원내대표도 “170석이 넘는 집권여당이 마음만 먹으면 일사천리로 진행되지 않겠냐”면서 “공정거래법은 절차를 무시하고 사활을 걸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에는 사활을 걸지 않냐”고 지적했다.

중대재해법은 산업안전 의무를 소홀히 해 노동자의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에 이르게 한 기업경영자를 형사처벌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을 도입한다 것이 핵심 내용이다.

현재 민주당은 정의당이 발의한 중대재해법 제정안 중 일부 조항에 위헌 소지가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기국회 내 처리를 위해 노력하겠다’던 민주당은 이날 ‘이번 임시국회 내 상임위원회 통과를 목표로 하겠다’며 통과시한을 늦췄다. 제정을 위해서는 상임위 이후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를 거쳐야 한다.

heerank@kukinews.com
김희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인제 설악그란폰도 대성황…전국 5000여 마니아 '은빛 질주'

전국 자전거 동호인들의 대축제인 2025 설악그란폰도 대회가 17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이날 강원 인제군 상남면을 중심으로 홍천군과 양양군 일대에서 열린 이번 대회에는 전국에서 5000여 마니아들이 몰려 명성을 실감하게 했다.전국 최고의 자전거 대회로 알려진 설악 그란폰도는 치열한 접수령을 넘은 5003명의 동호인이 그란폰도(208km), 메디오폰도(105km)에 참여해 힘찬 라운딩을 펼쳤다참가자들은 상남면 시가지에서 출발해 원당삼거리~구룡령~서림삼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