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9일 (목)
과거 ‘甲철수‧MB아바타’ 언급했던 安… 이번 토론회에선 ‘문도리코?’

과거 ‘甲철수‧MB아바타’ 언급했던 安… 이번 토론회에선 ‘문도리코?’

TV토론회서 새로운 별명 ‘문도리코’ 꺼내
문도리코는 문대성 전 의원 논문 표절 논란 당시 만들어진 별명
‘정규직의 비정규직화’로 착각해 말하기도

기사승인 2021-02-18 17:46:50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에 출마한 안철수 국민의당 예비후보(왼쪽)와 금태섭 무소속 예비후보가 18일 상암동 채널A 사옥에서 열린 단일화를 위한 토론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최기창 기자
mobydic@kukinews.com

[쿠키뉴스] 최기창 기자 =과거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이른바 ‘甲철수’‧‘MB아바타’ 등으로 이슈가 됐던 안철수 국민의힘 대표가 이른바 서울시장 범야권 제3지대 토론에서도 별명을 언급해 화제다. 아울러 토론회 도중 인천국제공항공사 논란을 ‘정규직의 비정규직화’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안 후보는 18일 채널A 주최로 열린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제3지대 후보단일화 TV토론에 참석했다. 

지난 대선에서 토론회 도중 많은 별명을 언급해 많은 화제를 모았던 안 후보는 이날 역시 또 다른 별명을 들고나왔다. 이번에는 ‘문도리코’였다. 

그는 “내가 2002년 대선 때 기회 균등‧과정의 공정‧약자 보호 등을 얘기한 적이 있다. 문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그걸 그대로 썼다. 그건 좋은데 실행을 제대로 못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캠프에서 고민한 정책들도 많이 가져다 썼다. 하지만 표현만 쓰고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비판한 뒤 “세간에서는 문도리코라는 별명까지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자신의 정책과 아이디어를 복사해 가져다 쓴다는 의미였다. 사무용 기계 제조‧판매로 유명한 한 업체의 이름과 문 대통령의 성을 합성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문도리코’를 문 대통령의 별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 표절로 논란이 된 문대성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의원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문 전 의원은 태권도 국가대표 출신으로 2004 아테네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명성을 얻었다. 이후 IOC 위원으로 활약하는 등 주가를 올리다 새누리당에 입당한 뒤 부산 사하갑에서 당선돼 19대 의원으로 국회에 입성했다. 

하지만 그는 박사학위 논문 표절 문제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고 결국 20대 국회의원 출마를 포기했다. 당시 문 의원은 논문 표절자라는 뜻에서 ‘문도리코’라는 오명을 얻었다.

한편 안 후보는 이날 토론회에서 ‘기회 불균등’을 언급하며 문 정권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대표적인 예시로 ‘인천국제공항공사 사태’를 꼽았다. 이후 그는 “정규직을 비정규직화했다. 오랫동안 고생했던 취업준비생들의 기회를 박탈했다”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거꾸로 표현했다.

mobydic@kukinews.com
최기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 사전투표 첫날…주요 후보자들 투표 참여

주요 대선 후보들은 6·3 대선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오전 일제히 투표장을 찾아 시민들의 참여를 호소했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대학가가 있는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청년들과 함께 투표했다. 그는 투표 후 기자들에게 "국민들께서 반드시 투표에 참여하셔서 잘못된 결과를 빚어낸 내란 세력에 대해 엄중하고 강력하게 심판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지지층 일각의 사전투표 부정선거 의혹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