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디지털 전환, '인력 및 신기술 경험 부족' 걸림돌

의료 디지털 전환, '인력 및 신기술 경험 부족' 걸림돌

필립스, ‘미래건강지수(Future Health Index) 2021’결과 발표

기사승인 2021-05-06 17:33:52
[쿠키뉴스] 조민규 기자 =로열 필립스(Royal Philips, 필립스)가 미래건강지수2021 보고서(Future Health Index) ‘회복 가능한 미래: 위기 이후에 대한 전망’ (A Resilient Future: Healthcare leaders look beyond the crisis)’을 발표했다. 

올해로 여섯 번째 해를 맞은 미래건강지수 연례 보고서는 헬스케어의 현재와 미래의 중점 사항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사이다. 올해는 싱가포르, 인도, 중국,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 14개국의 헬스케어 리더들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에서 의료 기관의 경영진, 재무 책임자, 기술 및 정보 책임자, 운영 책임자 등 헬스케어 분야 리더들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의료계가 직면한 과제 ▲의료계가 현재, 그리고 미래에 중점을 두는 사안 등을 공유하며 헬스케어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했다. 특히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환자 중심 의료를 강조하며 병원 내외 파트너십, 지속가능성 추구,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 지역 헬스케어 리더 72%가 현재 근무하는 의료기관이 향후 3년 안에 더욱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전체 조사 대상국 평균(75%)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러나 국가별로 미래를 전망하는 시각에는 차이가 있었다. 싱가포르 응답자의 84%는 향후 3년 내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한 반면, 중국과 호주는 그 비율이 각각 58%와 66%였다.

캐롤라인 클라크(Caroline Clarke) 필립스 아시아태평양 마켓 사장 겸 로열 필립스 부사장은 "아태 지역 국가들은 의료 시스템을 통해 팬데믹 상황에서 회복하고 있다. 미래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싱가포르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응답하는 등 아태 지역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며 “당분간은 감염병 위기 대응이 최우선 과제이겠지만, 헬스케어의 디지털 전환(digitization)을 위해 기술 향상과 발전에 뒤처지지 않도록 미래를 전망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원격 의료 비롯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이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코로나19는 전 세계 의료 서비스 방식의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는데 아태 지역 응답자는 기존 의료 서비스가 의료기관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이 현재 22%에서 3년 후에는 평균 약 25%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원격 의료(remote care)를 비롯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방식(virtual care)을 도입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국가별로 차이를 보였다. 인도 응답자의 75%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 방식(virtual care)으로 전환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해 조사대상국 14개국의 평균 응답률(42%)을 크게 웃도는 수치였다. 같은 질문에 대해 싱가포르는 40%, 중국은 32%, 호주는 27%로 조사국 평균보다 낮았다. 

원격 의료(remote care) 또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virtual care) 활성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코로나19 대응이 꼽혔다. 아태 지역 헬스케어 리더의 60%는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준비가 현재 최우선 과제라고 답했고, 58%는 미래를 계획하는 데 방해가 되는 주요 외부 요인으로 코로나19 대유행을 꼽았다. 

향후 비대면 의료 서비스(virtual care)의 제공 방식과 장소에 대해서도 국가별로 시각이 달랐다. 싱가포르는 병원이 아닌 가정에서 일상적 치료를 제공하도록 의료 시스템을 전환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 헬스케어 리더들은 현재는 병원 밖에서 행해지는 의료 서비스의 19%만이 가정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3년 후에는 이 비율이 45%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태 지역 국가의 목표 평균은 18%이다. 

반면 인도는 응답자 대다수가 원격 의료(remote care) 또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virtual care)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3년 후 가정이 일상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주요 장소가 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5%에 그쳤다. 

아태 지역의 헬스케어 분야 리더들은 질병, 예후를 미리 전망하는 ‘예측적 분석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태 지역 응답자 27%는 본인이 근무하는 의료기관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인공지능(AI)이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등 예측적 분석 기술 도입에 투자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유럽의 응답률(36%)보다는 낮지만 중동과 아프리카의 응답률(6%)보다는 훨씬 높은 수치이다. 

현재 아태 지역에서 투자하는 AI 분야는 문서 자동화, 예약 관리, 워크플로우 개선 등 행정 작업에 집중됐다. 아태 지역 헬스케어 분야 리더들은 향후 3년 동안 치료 결과 예측(33%), 진단법 통합(33%), 임상적 의사 결정 지원(26%)을 돕는 AI 기술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의료기관의 인력 부족과 새로운 기술에 대한 경험 부족이 헬스케어 기술 발전을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를 대비하는 것을 방해하는 내부 요인으로 아태 지역 응답자 51%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경험 부족’, 26%는 ‘인력 부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30%는 폭넓은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도입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로 ‘교육 부족’을 꼽았고, 이 외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명확하지 않은 정보 소유권 등 ‘데이터 관리의 어려움(41%)’도 방해물로 언급됐다.

캐롤라인 클라크 사장은 "이번 코로나19 대유행을 통해 원격 의료의 가능성을 확인했지만, 현재 아태 지역의 많은 의료 리더들은 원격 의료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보다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집중하고 있다”며 “새로운 기술에 대한 경험 및 숙련도 부족은 아태 지역의 디지털 전환을 방해하고 있다. 미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아태 지역 헬스케어 분야 리더들이 행정 업무에 새로운 기술들을 적극 적용하고 적절한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필립스는 2016년부터 건강 문제 해결 및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 구축에 대한 각국의 준비 상태를 파악하도록 돕는 미래건강지수 연구를 매년 시행하고 있다.

미래건강지수 2021 보고서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실천이 향후 3년 이내 아태 지역을 포함한 14개 조사 대상국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3년 이내 소속된 의료기관에서 지속가능성 정책 시행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이라고 답한 아태 지역의 응답자 비율은 49%로, 현재 5%보다 크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