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건설사 ‘붕괴 경보’…기업회생 벽산엔지니어링, 급여 지연까지

중견 건설사 ‘붕괴 경보’…기업회생 벽산엔지니어링, 급여 지연까지

기사승인 2025-08-05 06:00:09
벽산엔지니어링

올 들어 중견 건설사들의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중견건설사 벽산엔지니어링은 세 달 연속 직원 급여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5일 쿠키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중견건설사인 벽산엔지니어링은 지난 5월부터 직원들의 급여를 제때 지급하지 못 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180위인 벽산엔지니어링은 지난 3월4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부채비율은 지난 2023년 말 기준 468.3% 이다. 

벽산엔지니어링의 급여 지연은 3개월째 반복되고 있다. 벽산엔지니어링의 급여 지급일은 영업일 기준 매월 말일이다. 5월30일 지급 예정이던 5월 급여는 6월 말에야 지급됐다. 약 한 달간 지연된 것. 이후 6월 급여도 7월4일로 한 차례 지급을 연기했으나 해당 날짜에 지급되지 못했다. 6월 급여는 7월25일에서야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역시 약 한 달 가량 지연됐다. 7월 급여는 이날까지 미지급 된 것으로 확인됐다.

잦은 급여 지연으로 인해 내부 직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회사 한 직원은 “6월분 급여는 한 차례 지급이 연기됐음에도 해당 날짜에 지급되지 않았다”며 “매월 급여 지급이 불투명해지면서 내부 직원들 불만도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반복된 급여 지연의 원인은 월급을 지급할 재원 마련과 함께 기업회생절차의 영향으로 조사됐다. 벽산엔지니어링은 급여 지급을 위해서는 재원 확보 후 법원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 법원에 임금 지금 관련된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급여 지급이 늦어졌다는 회사 측 해명이다.

벽산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현재 기업 회생 중으로 유동성 문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꾸준히 수주를 하면서 공사 대금 등을 수금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는 기업이 기업회생절차를 밟으면 급여 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예림 법무법인 심목 변호사는 “회생절차를 밟으면 모든 채권회수에 대한 절차는 정지된다”면서 “다만, 임금채권은 회생절차의 진행과 관계없이 우선해서 지급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그러나 기업의 자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 필요자금을 차입한 후에 임금채권을 변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중견 건설사 도미노 붕괴 위기

중견 건설사의 위기는 벽산엔지니어링만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부터 ‘N월 위기설’이 이어지던 건설업계는 연초부터 중견건설사들이 줄도산하고 있다. 실제 지난 1월 주택 브랜드 ‘파밀리에’를 보유한 신동아건설은 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서를 제출했다.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58위인 신동아건설의 기업회생은 업계 충격을 안겼다. 이후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해양조선건설(83위) 등이 차례대로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일까지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392건으로 전년 동기(357건)으로 35건(9.8%) 증가했다. 특히 올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종합 건설사는 총 11곳이다. 시공능력평가 200위권 중견사들의 줄도산이 늘고 있다. 

이 외에도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내 다수 건설사의 부채비율이 200%~800%대에 달해 줄도산 우려가 나온다. 한양산업개발(820%), 이수건설(817%) 등은 2023년 말 기준 부채비율이 800%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시평 100위권 내 대형 건설사 중 두산건설(338%), SGC이앤씨(308%), 효성중공업(278%) 등도 부채비율이 200%를 넘었다.

건설업계는 경기 부양책이 시급하다고 호소한다. 대한건설협회는 “최근 건설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이후 연속 마이너스 5% 이상 하락했다”며 “국내 GDP 성장률도 4분기 연속 0.1% 이하로 IMF보다 심각한 상태”라고 밝혔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똘똘한 한 채 열풍이 부는 시점에서 지방 분양 물량 소진이 안 되고 PF 자금난도 지속되고 있다”며 “건설업계 입장에서는 숨넘어가기 직전이다. 건설업의 위기는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한편, 정부는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난달 2차 추가경졍예산에 사회기반시설(SOC) 투자 확대비용 총 8475억원을 증액했다. 또한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융자 지원에 599억원을 편성했다. 건설사업 유동성 지원에는 6500억원을 증액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