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3기 신도시 공급이 집값 안정화에 영향을 줄 수는 있어도 장기적인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진 않았다. 금리인상에 대해서도 경제 등을 고려했을 때 미약한 수준의 인상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3기 신도시 본격 입주가 시작되기까지 약 3년 동안 전월세난이 심해질 거라 우려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 주도 하의 공급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15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수도권 아파트값은 12.97% 올랐다. 이는 지난해 연간 상승폭(12.51%)보다 높은 수치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 연속 1%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매매가격 따라 전세가격도 오름세다. 수도권 지역의 올해 상반기 전세가격 상승률은 7.14%로 1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민들은 당분간 집값 상승이 계속될 거라 예측하고 있다. 직방이 지난달 14∼28일 자사 애플리케이션 접속자 1669명을 상대로 모바일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49.4%가 하반기 자신의 거주지역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에서 53.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52.0%), 지방(47.6%), 서울(47.3%), 5대 광역시(43.6%) 등의 순이었다.
주택 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수장들은 집값 하락을 경고하지만 정작 통계 지표와 국민들의 생각은 정반대인 셈이다. 앞서 노형욱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2~3년 후라도 집값이 내릴 수 있다”며 “무리하게 대출해서 영끌에 나선다면 나중에 집을 처분해야 할 시점에 자산가격 재조정이 일어나면서 힘든 상황에 부닥칠 수 있는 만큼 투자에 신중해 달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단기적으로 소득과 괴리된 주택가격 상승이 있으나 갈수록 과도한 레버리지가 주택가격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들이 집값이 떨어질 거라고 보는 가장 큰 이유는 ‘3기 신도시’와 ‘금리 인상’이다. 3기 신도시로 대규모 공급이 이뤄지면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안정화될 것이며, 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이 심해지면 영끌과도 같은 매수 현상이 줄어들 거란 설명이다.
하지만 업계는 해당 집값 안정화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을 하면서도 집값 하락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학계에서는 집값 고점의 시기를 인구수, 가구수, 공급수 등을 고려했을 때 2030년으로 본다. 그 전까지는 상승할 거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라며 “다만 3기 신도시가 집값 안정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도 “3기 신도시 아파트값이 기대만큼 낮은 가격이라는 평가가 적다”면서 “훨씬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이뤄진다면 집값을 잡을 수 있겠지만 지금의 가격으로는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금리인상도 집값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일축했다. 송 대표는 “통상 2008년을 기준으로 집값이 떨어질 거라 본다. 하지만 그 때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면서 “당시 금리는 5% 수준이었다. 새로 금리 인상을 하더라도 과거만큼의 집값 하락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다른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금리가 높아진다는 건 자금들이 부동산이 아닌 채권이나 금융시장 쪽으로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예전처럼 5~6%씩 높이지 않고 0%대로 올려봐야 집값에 영향을 미치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3기 신도시 입주가 이뤄지는 3년 사이 벌어질 ‘전세난’을 우려했다. 대규모 공급을 앞에 둔 예비 수요자들이 전월세에 거주함으로 인해 매물이 줄고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들은 민간 중심의 공급이 함께 뒷받침돼야 이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거라 주장했다.
서 학회장은 “3기 신도시 실제 입주 전까지는 전세난 현상이 벌어질 것”이라며 “3기 신도시 수요자들은 입주 전까지 전세수요로 있어야 하고, 예비 당첨이 되더라도 무주택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전세매물이 사라지고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시장 규제를 풀어서 민간에서도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