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대면 수업이 방역 수칙을 준수한 채 이뤄졌는지 의문이다. 대학은 전자출입명부(이하 QR코드)를 통해 학교 건물에 드나드는 학생 현황을 관리했다. 하지만 관리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도 많고, 제대로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제재가 없었다.
일부 시설은 출입자 명부 자체가 없었다.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 A씨는 “학교에서 건물에 출입하는 학생을 신경 써서 관리하지 않는다”며 “특히 흡연 부스와 같은 교내 시설에는 별도의 QR코드 장치가 없어 감염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고 말했다.
방역 절차를 따르는 것도 쉽지 않다. A씨는 “일부 출입문만 개방하여 QR코드 인증을 하려면 긴 줄을 서야 했다”면서 “개선을 요구하여 출입문 추가 개방 및 안심콜 서비스를 병행했지만 수업이 몰리는 시간대엔 긴 대기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캠퍼스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학생들의 불편은 더해졌다. 경북 소재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 B씨는 “기숙사에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외박 후 복귀할 때마다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해서 불편했다”고 했다.
확진자 발생에 따른 학교 공지도 미흡했다. B씨는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동선이 완벽히 겹쳐야만 문자를 받을 수 있었다”며 “확진자 동선에 대한 별도의 공지는 없어 근처에 확진자가 발생해도 알 방법이 없었다”고 호소했다.
수업 외 지원도 방역을 이유로 대부분 중단됐다. 특히 교내 공간 대여가 불가해 아쉬웠다는 지적이다. 서울 소재 대학교 학생 C씨는 “팀 프로젝트나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는 교내 공간이 코로나19 이후 폐쇄됐다. 결국 인근 카페나 화상 회의 플랫폼을 사용했다”며 “대학은 위드 코로나를 선언했지만, 여전히 대면 수업을 제외하곤 다른 활동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일부 대학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줄어든 수요로 인해 학교 식당 운영을 중단하거나 축소했다. 대학생 D씨는 “아침에 등교하지만, 해당 시간대 학식은 지난해 중단된 이후 여전히 운영하지 않고 있다. 대면 수업이 재개된 이상 학식도 이전처럼 정상 운영했어야 하지 않나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한 대학 관계자는 “학교의 방역 대책은 교육부 지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시설 개방을 포함한 운영 정상화를 당장 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다시 대면 수업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대학생 E씨는 “위드 코로나 정책 아래 학교생활이 이도 저도 아닌 것 같아 오히려 더 불편하다. 급하게 추진된 학교 정책에 대한 아쉬움과 책임은 오로지 학생의 몫”이라며 “학생들이 이번 학기에 느낀 아쉬운 점을 개선하여 내년엔 코로나19 이전의 대학 생활을 누리고 싶다”고 했다.
김지원 객원기자 suv11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