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5일 (월)
충남 이주, 고민이라면..."살아보고 결정하세요"

충남 이주, 고민이라면..."살아보고 결정하세요"

- 타 지역 청년 대상 2-4주 거주 - '도내 거주 청년에도 안정적 정착' 지원
- 도, ‘청년 참여·정착 분야 공모사업’ 참여 시군... 28일까지 모집

기사승인 2022-02-16 22:14:05
충남도청 전경.
오명규 기자
mkyu1027@kukinews.com

충남도가 전국 청년들을 대상으로 1개월 정도 직접 거주하면서 이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청년 유입 정책을 추진한다고 전했다.

도는 이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에게도 금융‧창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청년 유입과 정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구상이다.

16일 도에 따르면 올해도 지역에서 2-4주 살기 체험을 지원하는 ‘충남형 청년 갭이어 프로그램’과 지역 청년간 교류·협력을 지원하는 ‘지역착근형 청년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오는 28일까지 공모를 통한 참여 시군 모집에 이어 다음달 사업을 수행할 시군을 선정한 뒤 4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충남형 청년 갭이어는 타 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충남의 다양한 지원 자원과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해 지역정착과 관계인구 형성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연, 문화, 역사, 인물 등 자원을 연계한 특화 프로그램이 필수적으로 운영되며, 시군은 주민화합, 지역체험, 정보습득, 현장견학, 교육참여, 지역나눔 등 청년들이 지역을 이해하고, 최종 이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운영할 수 있다.

지난해에는 부여, 청양, 태안에서 지역살이 경험을 제공해 이주를 고려 중인 청년들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적지만 실제 이주로 이어지는 성과를 거뒀다.

지역착근형은 도내 거주 중인 청년들에게 경제·금융, 문화·예술, 창업 등 다양한 분야 교육을 지원하는 ‘청년학교’와 청년들이 소규모 동아리 활동을 통해 건강한 청년문화를 조성하도록 지원하는 ‘청년커뮤니티’ 사업으로 나뉜다.

지난해 연극·영화, 4차산업, 자격증 취득 연계 과정 등을 운영해 높은 만족도와 큰 호응을 얻었으며, 올해는 참여자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 구성과 성과 공유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군은 직접 사업을 추진하거나 역량 있는 단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단체는 시군에 사업 응모 여부를 사전 문의한 후 사업계획서 등을 작성해 22일까지 해당 시군에 공모 신청서를 접수하고, 시군은 서류를 갖춰 28일까지 도 청년정책과로 공문 접수하면 된다.

도는 지역착근형 10개 시군, 충남형 청년 갭이어 3개 시군을 선정할 예정이다.

김성식 도 청년정책과장은 “지역 청년들에게는 미래를 설계하고 뿌리를 내리는 작은 씨앗으로, 타 지역 청년에게는 살기 좋은 충남을 알리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시군에서도 참신하고 짜임새 있는 프로그램으로 많이 참여해 달라”고 말했다.

홍성=오명규 기자 mkyu1027@kukinews.com
오명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DDP에 펼쳐진 봄날의 동화…가족·어린이 몰려든 ‘환상의 성’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도심 속 테마파크’로 변신했다. 입구에 배치된 동화 속 장면을 모티브로 한 대형 구조물과 8m 규모 해치 애드벌룬은 ‘환상의 성’을 방불케 한다.지난 2일 방문한 DDP 행사장 곳곳은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부모들의 카메라 셔터 소리로 가득했다. 서울디자인재단이 가정의 달을 맞아 마련한 ‘DDP 봄축제’가 1일 본격적인 막을 올리면서, 유모차를 끄는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길게 줄을 섰다.어울림광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