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7일 (수)
2월 건설 체감경기 개선…현장에선 "중대재해법 불안 여전"

2월 건설 체감경기 개선…현장에선 "중대재해법 불안 여전"

CBSI 전월 대비 12.3p 상승한 86.9
"공사수주 늘었지만 안전 책임 커져"

기사승인 2022-03-02 17:16:23
사진=안세진 기자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지난달 건설업 체감 경기가 소폭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신규 수주가 증가한 데에 따른 것이다. 다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중대재해처벌법과 건설안전특별법 등으로 인해 불안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달 CBSI가 전월 대비 12.3p 상승한 86.9를 기록했다고 2일 발표했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을 넘으면 그 반대다.

앞서 CBSI는 지난 1월 공사 물량이 줄어드는 계절적 요인에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심리적 위축으로 지수가 1년5개월 만에 최저치인 74.6까지 떨어졌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지난 1월에 지수가 20p 가까이 하락한 데 따른 통계적 반등효과와 함께 주택과 비주택 건축 등 신규 공사수주가 1월보다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며 “여전히 기준선 아래로 머물고 있어 건설경기가 크게 개선됐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3월 전망지수는 2월보다 25.6p 상승한 112.5로, 기준선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박 연구위원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서 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지수가 기준선을 상회할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아직 경기가 나아졌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진 못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정부와 여당을 중심으로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움직임이 있어서다.

건안법은 건설 단계별로 각 주체에게 안전관리 책임을 부여하고 위반 시 형사책임을 묻는 게 골자다. 건설공사에서 안전관리 소홀로 사망자 발생 시 발주자부터 설계·시공·감리자 등을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게 돼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대한건설협회가 국내 기업 193개사(응답 기준)를 대상으로 실시한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5.0%가 제정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반대 이유로는 '산업안전보건법 규정과의 중복'이 42.1%,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별도 법률 제정 불필요'가 40.9% 등으로 가장 많이 꼽혔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사수주가 늘어난 것은 좋은 소식이지만 최근 안전 관련 책임을 묻는 관련 법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어서 불안도 함께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지 한 달여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실효성 여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또다른 제도를 도입한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사진=건설산업연구원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교황 선출’ 콘클라베 오늘 개막…추기경 133명 시스티나 성당서 비밀투표 참여

제267대 교황을 선출하는 비밀회의 ‘콘클라베’가 7일(현지시간)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서 시작된다.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이후 12년 만에 열리는 이번 콘클라베에는 5개 대륙 70개국에서 모인 추기경 133명이 참여한다. 애초 투표권자는 135명이었으나, 케냐의 존 은주에 추기경과 스페인의 안토니오 카니자레스 로베라 추기경이 건강상의 이유로 사전에 불참을 통보하면서 최종 참여 인원이 133명으로 조정됐다.콘클라베는 추기경 선거인단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