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첫 날 사전투표를 집계한 결과 대구는 7.02%로 전국 꼴찌다.
선거인수 204만 4579명 가운데 14만345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전국에서 사전투표율이 가장 높은 전남(17.26%)에 비해 2.5배 가까운 격차다. 전국 평균 10.18%에 비해서도 3.16%p 낮다.

대구는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이 최하위권인데다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는 무투표 선거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유권자들의 관심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대구는 제4회 지방선거에서 시·도별 투표율 12위를 기록한 이후, 제5회 지선 16위(전국 평균 54.5%·대구 45.9%), 제6회 지선 17위(전국 평균 56.8%·대구 52.3%), 제7회 지선 16위(전국 평균 60.2%·대구 57.3%)로 모두 최하위권의 투표율을 보였다.
또 지난 2013년 도입된 사전투표율도 제6회 지선(전국 평균 11.49%·대구 8%)과 제7회 지선(전국 평균 20.14%·대구 16.43%) 모두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경북은 선거인수 226만 8707명 중 27만 6918명이 사전투표에 참여했다. 사전투표율 12.21%로 전남(17.26%)과 강원(13.32%), 전북(13.31%)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경북의 과거 사전투표율을 살펴보면 6회 동시지방선거 13.11%(이하 전국평균 11.49%), 20대 국회의원선거 14.07%(12.19%), 19대 대통령선거 27.25%(26.06%), 7회 동시지방선거 24.46%(20.14%), 21대 국회의원선거 28.70%(26.69%)로 대구와 달리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이날 사전투표에 참여한 이호진(48)씨는 “내가 지지하는 후보가 박빙의 승부를 벌인다면 투표에 참여해 힘을 보태고 싶지만 대구에서는 ‘국민의힘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고정관념이 팽배해 관심이 낮은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내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란 생각에 사전투표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대구의 한 국민의힘 기초단체장 후보는 “투표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지역 정치에 대한 관심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앞으로 4년간 지역을 위해 일할 일꾼을 뽑는다는 생각으로 소중한 투표권을 반드시 행사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전투표는 27~28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신분증만 있으면 유권자 누구나 전국 3551개 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다.

경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이철우 국민의힘 후보도 경북 안동시 강남동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했다. 임미애 더블어민주당 후보는 1일 본 투표에 참여할 예정이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후보와 경북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임종식, 마숙자 후보도 사전투표에 참여했다.
대구·경북=최태욱·최재용 기자 tasigi72·gd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