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저우·상하이 이어 중국 시안도 부분 봉쇄...‘제로 코로나’ 언제까지

정저우·상하이 이어 중국 시안도 부분 봉쇄...‘제로 코로나’ 언제까지

기사승인 2022-10-22 10:26:0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CCTV 캡처 
중국이 정저우, 상하이에 이어 인구 1300만명의 대도시 시안도 부분 봉쇄에 들어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재차 옹호한 ‘제로 코로나’ 정책의 일환이다. 당 대회가 끝난 후에도 강력한 통제 정책이 당분간 유지될 거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21일 중국 시안 정부가 지난 20일 밤 공식 위챗 계정을 통해 관내 코로나19 고위험·중위험 지역이 규정에 따라 관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시안시는 20일 현재 고위험 지역이 57곳, 중위험 지역이 74곳이라고 고지했다.

그러면서 고위험 지역 주민은 감염자가 일주일간 나오지 않을 때까지 집에만 머물러야 한다고 밝혔다. 또 중위험 지역 주민은 신규 감염자가 일주일간 보고되지 않을 때까지 주거단지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고 알렸다.

시안에서는 신규 감염자가 19일 34명, 20일 37명 각각 보고됐다.

블룸버그는 “시안 전체가 봉쇄될 것이라는 루머가 20일 오후부터 퍼져나가면서 주민들이 황급히 ‘패닉 바잉’에 나선 모습을 찍은 사진들이 소셜미디어에 올라왔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또한 인구 2500만명의 상하이시에서도 점점 더 많은 아파트와 주거 단지가 봉쇄되고 있다고 전했다.

상하이시는 앞서 지난 1∼7일 일주일간 감염자가 70명 나오자 9개 구에서 대규모 전수 검사를 진행했다.

인구 1000만명의 허난성 정저우시는 17일부터 일부 지역을 봉쇄하고 비필수 사업장을 폐쇄했다.

이에 30만여명이 근무하는 애플 제품 조립업체 폭스콘의 현지 공장 단지도 많은 출입구가 사실상 봉쇄됐고, 구내 식당이 폐쇄되면서 모든 직원은 기숙사에서만 식사가 허용되고 있다.

봉쇄 조치는 최근 폭스콘 공장이 최신 아이폰14 모델 생산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정저우시 당국에 따르면 이날 기준 7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당초 시 당국은 일부 지역만 봉쇄하고 사업장 폐쇄 명령을 내렸다. 당국은 폭스콘 공장을 포함해 화이트리스트에 속한 사업장 운영을 허용해줬었다.

폭스콘 대변인은 이날 “정저우 공장 생산은 코로나19 상황으로부터 현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폭스콘의 추가 조치는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코로나19 무관용이란 상반된 목표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정국의 고군분투가 반영된 것이라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진단했다.

이와 함께 안후이성 허페이시는 신규 감염자가 8명 보고되자 극장, 체육관, 술집 등 실내 시설을 폐쇄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가장 중요한 도시들은 아직까지는 대규모 봉쇄를 피하고 있지만, 서서히 발생하는 제한들로 인해 일상에 지장을 주는 지속적인 위협이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세 번째 대관식을 앞두고 여전히 ‘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 수도 베이징 당국은 지난 16일 개막한 제20차 당대회 전후로 코로나19 확진자가 4배 증가하자 예방 조치를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주거 단지를 폐쇄하는 등 공공 점검에 들어갔다.베이징 보건당국은 지난 19일 18명의 확진자가 나왔다고 발표했으며 베이징 지역에서 지난 10일 동안 197명이 확진됐다.

이는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감염된 49명보다 4배 많은 수치다. 2100만명이 거주하는 베이징은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적다. 중국 국민이 통제된 일상과 자국 경제에 불만을 품고 있어 곧 중국 정부에서 방역 조치를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됐다.

이번 20차 당 대회에서 시 주석이 3연임을 확정한 후 중국이 방역 수위를 다소 낮출 수도 있을 거란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시 주석이 당 대회 개막식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옹호하면서, 당 대회가 끝난 후에도 강력한 통제 정책이 당분간 유지될 거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각에선 외국에서 중국으로 입국하는 입국자 의무 격리 기간이 단축될 것이란 전망도 여전히 나오고 있다.

손희정 기자 sonhj1220@kukinews.com
손희정 기자
sonhj1220@kukinews.com
손희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