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100일이 됐다. 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와 시민·사회단체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 등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와 함께 희생자·유가족을 향한 2차 가해를 막아달라고 이야기했다.
참사 직후부터 희생자들을 향한 2차 가해가 논란이 됐다. 포털사이트 기사에는 참사의 원인을 희생자에게 돌리는 내용의 댓글이 달렸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에 무분별하게 올라온 참사 전후 영상도 유가족을 포함해 보는 이들에게 트라우마를 안겼다.
댓글은 참사 생존자에게도 칼날이 됐다. 지난해 12월12일 서울 마포구의 한 모텔에서 고등학생 A군이 숨진 채 발견됐다. 극단적 선택이었다. A군은 지난해 10월29일 친구들과 함께 이태원을 찾았다가 인파에 갇혔다. 의식을 잃기 전에 구조됐다. 친구들은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A군 가족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희생자를 탓하는 댓글에 A군이 분노하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고 이야기했다.
댓글뿐만이 아니다. 일부 정치인도 2차 가해에 동조했다. 김미나 국민의힘 창원시의원을 비롯해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 송언석·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등이다. 김 시의원과 김 전 비서관 등은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 등을 폄훼하는 발언으로 비난을 샀다. 송 의원은 마약 등 참사가 발생한 다른 이유가 있다는 ‘음모론’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을 했다. 권 의원도 참사를 정쟁화해 빈축을 샀다.

지난달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 마련된 분향소에서 만난 유가족들은 이같은 2차 가해에 대해 부당함을 호소하며 눈물을 쏟았다. 한 유가족은 진상규명 등을 외면하는 정부를 향해 “우리를 개돼지만도 못하게 생각하는 것”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유가족과 시민·사회단체는 100일 시민추모제를 전후해 언론과 포털에 ‘댓글창 닫기’를 요청했다. 이에 일부 언론과 포털이 응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