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9개 종합금융투자사(자기자본 3조 원 이상 증권사)가 최근 4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담당 임직원에게 8500억원에 달하는 성과급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PF 연체율이 15%에 달하는 만큼 성과급 분리 지급과 환수 조치가 강화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메리츠·한국투자·미래에셋·KB·키움·NH투자·신한투자·삼성·하나증권 등 9개 종투사가 2019∼2022년 지급한 부동산 PF 관련 성과급은 8516억 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성과급을 지급한 회사는 메리츠증권이다. 메리츠증권은 4년간 총 3554억 원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메리츠증권의 부동산 PF 담당 인력은 4년간 평균 223명으로 45∼172명 수준인 다른 증권사보다 많아 성과급 지급 규모가 큰 것으로 보인다.
다만 메리츠증권의 경우 올해 국정감사에서 부동산 PF 관련 갑질이 심하다는 지적을 받은 곳이다. 시장이 어려운 틈을 이용해 부동산PF 관련 과도한 이자와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막대한 성과급을 지급하면서 이러한 갑질을 종용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잘못 설계된 성과급 체계가 가격을 왜곡하고 과도한 이자와 수수료로 귀결될 수 있다”며, “그 결과 과도한 투자로 단기자금시장의 시장기능이 마비되는 일도 있었다”고 지적에 공감했다.
메리츠증권에 이어 성과급 규모는 한국투자증권(1411억원), 미래에셋증권(840억원), KB증권(824억원), 키움증권(596억원), NH투자증권(518억원), 신한투자증권(374억원), 삼성증권(240억원), 하나증권(158억원) 순서를 보였다.
이 의원 측은 이러한 성과급이 금융시장의 리스크를 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사들이 저금리와 부동산 호황 국면에 앞다퉈 부동산 PF 사업에 뛰어들어 성과급을 챙겼지만 최근 금리 인상기를 맞아 진행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면서 개발·분양 실패로 사업이 부실화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
이에 증권사 임직원은 성과보수의 40% 이상을 3년 동안 나눠서(이연) 지급하도록 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부동산 PF 부실 여부에 따라 향후 책임 있는 임직원에 대해 철저한 성과급 환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