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故김용균 5주기…“중대재해법 확대 유예 반대, 약속 지켜야”

故김용균 5주기…“중대재해법 확대 유예 반대, 약속 지켜야”

기사승인 2023-12-09 20:33:16 업데이트 2023-12-09 20:33:43
화력발전소 비정규 하청 노동자였던 고(故) 김용균 씨 5주기를 이틀 앞둔 9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5주기 추모식에서 김 씨의 어머니 김미숙 김용균 재단 대표를 비롯한 추모위원회 관계자들이 합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순영 기자
binia96@kukinews.com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 김용균 5주기 추모위원회는 9일 종로구 보신각에서 김씨의 5주기 추모제 '일하다 죽지 않게! 차별받지 않게!'를 열었다.

김씨의 어머니인 김미숙 사단법인 김용균재단 이사장과 노동·시민단체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씨 사망 사고의 형사 책임을 원청 기업 대표에게 물을 수 없다는 대법원 확정판결을 비판했다.

이날 노동·시민단체들은 법원은 원하청이라는 형식적 관계로만 사안을 볼 뿐 실질적인 고용·업무지시·작업 과정·권한에 대해 제대로 보지 못한 채 잘못된 판단을 했다고 지적했다.

김 이사장은 "정부가 진상규명을 밝혔음에도 대법원은 잘못된 판단으로 우리의 피나는 노력을 한 순간에 물거품으로 만들었다"며 "아들을 죽인 회사가 어떻게 무죄이고 누가 이 부당함을 인정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50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2년 유예 논의에 대해서도 반대했다.

권영국 중대재해전문가넷 공동대표는 "법 적용 유예는 그동안 중대재해를 줄이겠다던 정부와 정치권의 약속이 입바른 소리이자 국민을 속인 말장난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사업장 규모를 이유로 법 적용을 하지 않는 것은 인간을 차별하는 반사회적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보신각 추모제 후 서울시청 광장 이태원 참사 분향소 앞까지 행진해 희생자들에 대한 합동 분향을 했다.

서부발전 하청업체인 한국발전기술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던 김씨는 2018년 12월 11일 석탄 운송용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숨진 채 발견됐다.

김씨의 사망 후 산업 현장의 안전 규제를 대폭 강화한 이른바 '김용균법'이 2020년 1월 시행됐고, 중대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처벌하는 중대재해처벌법도 작년 1월27일 시행됐다.

하지만 김씨 사건에는 새 법이 소급 적용되지 않아 대법원은 지난 7일 김병숙 전 한국서부발전 사장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정순영 기자 binia96@kukinews.comㅅ
정순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2연승’ 유상욱 BNK 감독 “디아블? 탑급 선수 될 것”

유상욱 BNK 피어엑스 감독이 팀 경기력에 만족감을 표하며 ‘디아블’ 남대근을 칭찬했다.유 감독이 이끄는 BNK는 10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 완승을 거뒀다. 개막전 패배 후 2연승에 성공한 BNK는 2승1패로 4위에 자리했다. 반면 DRX는 2연패에 빠지며 1승2패를 기록했다.경기 후 취재진과 만난 유 감독은 “기세를 타기 위해 중요한 경기였다. 2-0으로 이겨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