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돌봄에 파산·살인까지…요양급여에 ‘간병’ 포함 [법리남]

돌봄에 파산·살인까지…요양급여에 ‘간병’ 포함 [법리남]

서영교 “버는 것보다 큰 간병비용으로 파산”
“국가가 간병 지옥 벗어나도록 해야”

기사승인 2024-01-01 14:00:02
#[법리남]은 기존 [법안+리드(읽다)+남자]의 줄임말로 법안에 대해 쉽게 풀어낸 새로운 코너입니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21대 국회의원들의 법안들을 편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빈 병실. 쿠키뉴스 자료사진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간병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간병 파산·실직·살인 등 비극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간병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1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8.4%로 오는 2025년에 20.6%까지 높아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 고령화와 함께 ‘만성질환자’도 대폭 증가하면서 간병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간병비용은 만만하지 않은 수준이다. 하루 평균 13~15만원 수준으로 24시간 간병이 필요한 경우 한 달에 400~500만원의 비용이 소모된다. 지난해 간병비용은 10조원에 육박했다.

지난 2021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버지를 홀로 돌보던 20대 청년 A씨는 간병살인을 저질렀다. A씨의 아버지가 쓰러진 뒤 집의 전기와 가스가 끊기는 등의 심각한 생활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이 개정안은 요양급여 대상에 ‘간병’을 명시해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법안의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제41조제1항제6호에 간병 항목을 포함했다. 제44조의2 ‘간병에 관한 특례’를 신설했다. 이 항목에는 차상위계층과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면제 필요 대상자가 공단에 본인일부부담금의 일부나 전부를 청구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법안이 국회의 문턱을 넘게 되면 취약계층의 간병부담이 대폭 감소한다. 특히 간병과 생활을 양립해야 하는 간병인 가족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 의원은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간병비가 한 달 400~500만원이 들어간다”며 “버는 것 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들어 간병 파산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간병비 부담으로 직접 간병을 선택해 직장을 그만두는 간병 실직까지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라며 “국가가 국민을 간병 지옥에서 벗어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서울 사람한테만 빌려줬다” 저축은행 여신 집중 ‘심각’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서울에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과 전문가들은 지역금융 공급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를 위해 규제 완화와 인수합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40조4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동월 대비 약 2조원 증가했다. 서울에서만 2조50억원 늘었다. 다음으로 대출이 많이 증가한 부산(2521억원), 충북(2107억원)은 증가 폭이 서울의 1/10 수준에 그쳤다. 경기(-280억원)와 인천(-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