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6일 (일)
한 지붕 多 가족, 멀티 레이블의 함정 [데스크칼럼]

한 지붕 多 가족, 멀티 레이블의 함정 [데스크칼럼]

기사승인 2024-04-25 08:53:51
하이브 사옥. 사진=임형택 기자
김예슬 기자
yeye@kukinews.com

하이브 사건으로 세상이 떠들썩하다. 민희진을 필두로 한 레이블 어도어가 하이브에 반기를 들자 시총 8000억가량이 한순간 증발했다. 가요계에서는 피프티피프티 사태가 다시 벌어진 게 아니냐는 우려가 파다하다.

하이브의 전신은 세계적인 그룹 방탄소년단을 배출한 빅히트다. 방탄소년단이 큰 성공을 거두자 방시혁은 회사 이름을 하이브로 바꾸고 몸집을 키웠다. 하이브는 여러 레이블을 거느린 거대한 연합체로, 지방 자치단체를 둔 중앙 정부와 유사한 형태다. 별도 회사였던 플레디스(세븐틴 소속사)와 KOZ엔터테인먼트(지코 소속사), 쏘스뮤직(구 여자친구·르세라핌 소속사) 등을 사들여 순식간에 사세를 확장했다. CJ ENM과 뜻을 모아 합작사 빌리프랩(엔하이픈·아일릿 소속사)도 설립했다. 검증된 IP를 가진 소속사들을 규합한 게 하이브의 가파른 성장 비결로 꼽힌다. 현재 하이브는 엔터사 중 유일하게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이 유력하다고 평가받는다.

가요계에 멀티 레이블 체제가 없던 건 아니다. 국내에서는 JYP엔터테인먼트가 일찍이 본부제를 도입했다. 1본부가 스트레이 키즈와 2PM·니쥬, 2본부가 있지, 3본부가 박진영과 트와이스·비춰, 4본부가 엔믹스, 스튜디오 제이가 밴드 데이식스와 엑스디너리 히어로즈를 기획·제작했다. SM엔터테인먼트는 지난해 내홍을 겪은 뒤 아티스트별로 담당 센터를 별도 배치했다. 1센터가 보아·소녀시대·에스파, 2센터가 샤이니·웨이브이·루카스 등, 3센터가 동방신기와 레드벨벳, 4센터가 NCT, 5센터가 슈퍼주니어·엑소·라이즈를 담당한다.

이들 회사와 하이브의 차이는 무엇일까. 전자가 자사 제작팀을 본부 및 센터 등으로 구분하는 식이었다면, 하이브는 이미 존재하던 회사를 잠식하거나 외부 인력을 초빙하며 지금의 구조를 꾸렸다. 전자가 한 건물을 여러 층계나 방으로 나눈 것이라면 후자는 각자 존재하던 건물을 한 울타리로 에워싼 형태다. 구성원 사이 친밀도나 끈끈함이 다를 수밖에 없다.

방시혁 하이브 의장(왼쪽)과 민희진 어도어 대표. 하이브, 어도어

어도어와 하이브의 갈등은 지난해부터 이어져 왔다. 하이브는 타 레이블과 달리 161억원을 출자해 어도어를 설립했다. 샤이니·에프엑스·엑소 등 SM엔터테인먼트에서 여러 ‘대박’을 터뜨린 민희진을 데려와 대표 자리를 내줬다. 하이브 소속 인사가 경영진에 이름 올린 타사와 달리 어도어는 SM엔터테인먼트 출신 등 외부 인사가 요직을 점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민희진 대표가 하이브 소속 PR팀도 불신한다는 이야기가 이미 파다했다. 하이브는 산하 레이블의 제작 독립성을 장려하되 아티스트 관리 및 홍보 등 업무는 하이브 PR팀이 각 레이블을 나눠 담당토록 한다. 어도어 역시 하이브 PR팀이 홍보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들을 대하는 태도는 판이했다. 하이브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홍보 자료 기획·작성을 위해 PR팀에 콘텐츠를 공유하는 타 레이블과 달리 민 대표는 뉴진스 관련 콘텐츠를 PR팀에 넘기는 걸 극도로 꺼렸다고 한다. 보안 등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어도어와 하이브 사이 거리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민 대표는 하이브와의 연결고리를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듯하다. 그는 다수 인터뷰에서 하이브가 아니어도 뉴진스가 성공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설파해 왔다. 민 대표가 뉴진스의 성공에 하이브의 공이 없다는 식으로 줄곧 선을 그으며 하이브와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이 때문에 뉴진스의 IP(지식재산권)에도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어도어는 공식 입장에서도 아일릿을 뉴진스의 아류로 표현키도 했다. 어도어에서 생산한 IP가 모기업인 하이브에 귀속된다는 것을 인정 않는 모양새다.

결국 모든 문제는 울타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다. ‘가족인 듯 가족 아닌 가족 같은’ 멀티 레이블 체제의 약점이 드러난 것이기도 하다. 각 사가 일체감을 느끼지 않으면 비슷한 시도는 얼마든 있을 수 있다. 피프티피프티 사태 역시 소속사와 유대감이 부족하던 멤버들이 외부 세력의 감언이설에 응하며 벌어진 것을 상기해야 한다. 이번 하이브와 어도어의 갈등은 현 체제가 가진 근원적 결함을 돌봐야 한다는 숙제를 남겼다. 한 지붕 아래 여러 가족이 동거하는 지금 형태가 아닌, 한 가족을 이루기 위한 고민을 시작할 때다.

김예슬 대중문화팀장 yeye@kukinews.com
김예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MLB 적응 마친 이정후, 3안타 폭발…3할 타율 진입

이정후(26)의 방망이가 심상치 않다. 개막 후 6경기 연속 안타 행진 및 3안타 경기를 만들며 컨디션을 끌어올렸다. 타율은 어느덧 3할대다.이정후는 6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2025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시애틀 매리너스와 홈경기에서 3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3안타 2득점 도루 1개를 기록했다.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의 맹활약에 힘입어 4-1로 승리했고, 6연승을 달리며 내셔널리그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