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조선시대 학자의 이름을 딴 ‘남병철 충돌구(Nam Byeong-Cheol Crater)’가 생겼다.
남병철은 조선 철종 때 대제학을 지낸 문신으로, 천문과 수학에도 조예가 깊어 천문서 성요(星要)를 비롯, 해경세초해(海鏡細草解), 의기집설(儀器輯說), 추보속해(推步續解), 규재유고(圭齋遺稿) 등을 남겼다.
19일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에 따르면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이 국제천문연맹(IAU)에 달 크레이터에 남병철을 신청, 최종 심사를 거쳐 지난 14일 확정됐다.
위치는 달 남위 14.66°, 동경 –123.41°다.
‘남병철 충돌구’는 직경이 132㎞로, 1980년 이후로 명명된 모든 달 충돌구 중 가장 크다. 지금까지 총 1,659개의 충돌구에 이름이 붙여졌다.
경희대팀은 미국의 참여 과학자인 산타크루즈대 이안 게릭베셀 교수와 공동연구 중 해당 충돌구에 이름이 없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경희대팀은 천문연 고천문연구센터의 추천을 받아 국제천문연맹에 ‘남병철 충돌구’를 최종 제안했다.
달 충돌구 명명은 국제천문연맹이 주관하며, 명칭 부여를 위해 명명 대상의 과학적 의미와 이를 입증하는 자료를 면밀히 검토한다.
경희대팀은 산타크루즈대와 공동으로 그 동안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서 조선시대 학자 남병철에 대해 한국우주과학회가 발간하는 학회지 논문에 게재된 내용을 참고문헌으로 제출했다.
‘남병철 충돌구’는 외부 천체의 충격 에너지로 인한 달 표면 자기장 변화 연구를 진행 중인 충돌구 중 하나다.
이는 바로 밑에 있는 ‘후조 충돌구’와 같이 충돌구 내외부의 자기장 차이를 보여 많은 연구가치를 갖는다.
때문에 대한민국 달 관측선 ‘다누리’가 낮은 궤도로 관측을 수행하는 임무 기간동안 남병철 충돌구에 대한 추가 관측으로 새로운 연구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