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빅테크에 점유율 쫓기는데…정부·여당 압박에 네이버 ‘진땀’ 

해외 빅테크에 점유율 쫓기는데…정부·여당 압박에 네이버 ‘진땀’ 

- 네이버 찾은 與 ‘포털 불공정 개혁 TF’…이해진 창업자 국정조사 소환 언급도
- 방통위도 네이버 현장방문 시사…뉴스 알고리즘 공정성 들여다볼 듯
- 4년 전과 비교 검색 점유율 네이버↓·구글 ↑…전문가 “압박 지속되면 사세 확장 어려워”

기사승인 2024-08-20 06:00:10
국민의힘 ‘포털 불공정 개혁 TF’(오른쪽)가 19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사옥을 방문해 포털의 독점적 지위를 남용한 불공정 행위 근절과 네이버 뉴스서비스의 이념 편향성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네이버 포털 뉴스 관련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구글과 MS 등 해외 빅테크의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국민의힘 ‘포털 불공정 개혁 TF’는 지난 19일 경기 성남 네이버 사옥을 방문,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이념 편향성 개선을 촉구했다. TF 위원장인 강민국 의원과 강명구·고동진·김장겸 의원이 네이버와의 면담을 진행했다. 네이버에서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면담에서는 네이버 뉴스가 좌편향으로 기울어졌다는 성토가 주로 나왔다. 강명구 의원은 “포털 뉴스가 좌편향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평가를 받아왔고, 네이버는 방관하며 무책임한 태도를 보인다고 지적받는다”며 “뉴스 노출 알고리즘에 대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관리·감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가 좌편향 선동가들의 가짜뉴스 진지가 된다는 세간의 평가를 불식시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고 의원도 “국민 10명 중 8명이 네이버 플랫폼을 통해 뉴스를 보는데, 편향적이라는 여론이 매우 많다”며 “나도 기업에서 오래 있었지만, 기업이 정치적으로 어느 쪽에 편향돼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삼성전자 사장 출신이다. 

국민의힘은 지난 12일 포털 불공정 개혁 TF를 출범했다. 지난 16일에는 ‘뉴스 플랫폼의 공적 책임 강화’ 정책 토론회를 열고 ‘한국포털위원회’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산하에 신설하자는 주장도 펼쳤다. 가짜뉴스 유통을 포함한 포털 개혁을 정부에서 지휘하자는 취지다. 

향후 국정조사에서 해당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언급도 나왔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를 국정조사에 소환할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향후 네이버의 설명을 들어본 뒤 부족하다면 이해진도 부를 수 있지 않나 보고 있다”고 했다. 

정부 기관인 방통위도 조만간 네이버 등을 비롯해 관련 업계를 현장 방문한다는 계획이다.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이 네이버를 방문할 경우 네이버의 알고리즘 시스템 공정성 등에 대해 깊게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는 지난해 제기된 네이버의 뉴스알고리즘 조작 의혹과 관련해 실태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아직 결과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네이버 방문 일정은 아직 조율되지 않은 상태다.

네이버 사옥. 연합뉴스

일각에서는 뉴스 포털 등과 관련해 네이버가 받는 압박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인공지능(AI)을 통한 검색시장 변화 등 새로운 사업을 전개해야 하는 상황에서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웹사이트 분석업체 인터넷 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서 네이버의 점유율은 55.54%로 1위다. 그러나 구글이 37.96%로 그 뒤를 쫓고 있다. 다음 3.02%,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2.07%다. 

네이버의 점유율은 4년 전과 비교해 줄었다. 지난 2020년 8월17일 기준 네이버의 점유율은 61.33%였다. 구글 32.44%, 다음 4.38%, 빙 0.97%다. 구글과 빙이 국내 검색시장에서 점점 성장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전문가는 정치권의 개입으로 네이버가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봤다. 임종수 세종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포털 초창기 뉴스 서비스는 사람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면서 “현재는 상황이 다르다. 지금의 정치 환경에서는 네이버가 뉴스를 버리는 것이 차라리 나은 선택지가 됐다. 정치권의 압박이 지속된다면 사세 확장 등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