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8일 (일)
KAIST '전두엽 고위인지 기능 모방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돌입

KAIST '전두엽 고위인지 기능 모방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돌입

KAIST-밀라(MILA) 프리프론탈 AI연구센터 본격 가동
세계 권위 요슈아 벤지오 교수 등 참여

기사승인 2024-09-04 08:41:13
프리프론탈 시스템2 인공지능의 코어기술(왼쪽)과 이 기술의 지향점(오른쪽 아래) 및 이를 적용할 응용기술(오른쪽 위). KAIST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KAIST가 ‘KAIST-밀라(MILA) 프리프론탈 인공지능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인공지능연구센터는 전산학부 안성진 교수팀과 인공지능 분야 세계적 권위를 가진 캐나다 몬트리올학습알고리즘연구소 요슈아 벤지오 교수를 중심으로 인간의 고위인지 능력을 모방하는 ‘시스템2’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한다.

이 기술은 데니얼 카네만의 듀얼프로세스 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직관적이고 빠른 인지를 담당하는 ‘시스템1‘과 달리 수학적 논리추론처럼 복잡하고 순차적인 사고 과정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주로 뇌 전두엽에서 이뤄지며, 계획, 판단, 추론 등 고차원적 인지기능을 관리한다. 

이번 연구로 KAIST는 대형언어모델(LLM) 발전에도 불구하고 딥러닝 기술이 고위인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전두엽이 담당하는 고위인지 기능을 AI에 통합하는 ‘프리프론탈 AI’를 구현하는  기반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KAIST 홍승훈 교수와 포항공과대 안성수 교수가 참여한다.

홍 교수는 시스템2 메타학습 알고리즘을 연구하며, 안 교수는 시스템2 기능을 ‘과학을 위한 AI(AI4Science)’ 응용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시스템2’ 개발 연구진. KAIST

안성진 교수는 “요슈아 벤지오 교수와의 협력은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로 전두엽이 수행하는 고위인지 기능을 모방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구현하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요슈아 벤지오 교수는 딥러닝 분야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현대 AI 연구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검찰, ‘홈플러스 사태’ 김병주 MBK회장 귀국길 휴대폰 압수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도 대규모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18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이승학)은 전날 오후 영국 런던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김 회장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이 과정에서 김 회장의 휴대전화 등 수사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8일 특정경제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