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0일 (토)
인권위 “임신 중지권은 여성 권리…‘낙태·중절→임신중지·중단’ 바꿔야”

인권위 “임신 중지권은 여성 권리…‘낙태·중절→임신중지·중단’ 바꿔야”

기사승인 2024-09-26 18:45:57
국가인권위원회. 연합뉴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9월28일 ‘세계 안전한 임신중지의 날’이 다가오는 가운데,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정부에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정책 수립을 권고했다.

26일 인권위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낙태’, ‘중절’ 등의 용어를 ‘임신중지’나 ‘임신중단’ 등으로 정비할 것을 권고했다. 또 임신중지 관련 의료서비스에 건강보험 적용, 의료종사자 교육, 모자보건법 제14조 ‘인공임신 중절 수술 허용 한계’·모자보건법 시행령 제15조 ‘인공 임신 중절 수술의 허용한계’ 삭제 등을 권면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는 임신중지 의약품을 도입해 필수 의약품으로 지정하라고 권했다.

인권위는 지난해 8월 시민단체에 진정을 접수해 조사한 결과 피해자를 특정할 수 없어 진정은 기각하지만, 입법 공백을 우려해 정부에 이런 정책 권고를 하게 됐다고 전했다.

인권위는 유엔여성차별철폐 협약 등 국제 인권 규범에서도 임신 중지 권리를 여성의 주요 권리로 명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 여성은 임신중지 병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설령 병원을 찾더라도 건강 보험 미적용으로 비용 부담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권위는 “국가가 국민의 기본권 보장 의무를 다하지 않은 부작위로 인해 건강에 대한 권리 및 자기 결정권을 저해하는 결과가 나타났다”며 “남성과 비교할 때 여성에게만 필요한 의료 개입을 거부·방치한 것으로 성별을 이유로 한 평등권도 침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임신 중지권은 여성의 자유권·평등권·사회권을 포괄하는 권리”라며 “자기 결정권이 가능해지도록 사회경제적·보건의료적 조건이 제공돼야 하고 국가는 이를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2
추천기사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9일 별세…향년 81세

‘뽀빠이 아저씨’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방송인 이상용이 9일 오후 2시30분께 별세했다. 향년 81세. 소속사 이메이드 관계자에 따르면 이상용은 이날 서울 서초구 자택 인근 병원에 다녀오던 중에 쓰러졌다. 이후 서울성모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세상을 떠났다. 관계자는 “전날에 같이 행사를 다녀왔다. 감기 기운이 있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갑자기 떠날 줄은 몰랐다”고 비통한 심정을 밝혔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